

이에 따라 한국앤컴퍼니그룹은 '영어 공용어 글로벌 언어 원칙' 가이드를 제작해 배포했다고 5일 밝혔다.
가이드는 그룹 구성원 5만여명 가운데 약 3만4천명(68%)이 외국인인 점을 고려해, 임직원들이 언어장벽 없이 효율적으로 소통하는 것을 돕기 위해 마련됐다.
가이드에는 조직장이 참석하는 모든 회의, 해외 사업장 간 소통, 내부 공유문서 작성 등에 영어를 쓴다는 내용이 담겼다.
다만 현실성을 고려해 △현지공장 생산 기능직은 영어·현지어 병용 △발표·협의 등 발화·일상 언어는 현지어 자율사용 △정부기관 등 대외용 자료, 법적 이슈 자료 제외 △해외직원 참여 회의시 사업장·공장 모두 영어 사용 등 기준도 세웠다.
영어 사용이 익숙치 않은 구성원을 위해 자동 번역·해석을 지원하는 대화형 인공지능(AI) 서비스 챗HK, 번역 전문 서비스 컴HK, 사내 메신저 AI 번역서비스 등도 제공하기로 했다.
가이드를 기획한 오윤정 프로액티브 컬처팀장은 "글로벌 언어 원칙이 소통 장벽을 없애고 구성원 간 협업의 합목적·효율·구체성을 도울 것으로 기대한다"며 "의사 결정 시 글로벌 공용어 사용을 권장하면서 필수 사용 범위를 점차 확대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곽호룡 한국금융신문 기자 horr@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