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힛 미탈(Mohit Mittal) 핌코(PIMCO) 코어 전략 최고투자책임자(CIO)가 22일 서울 미디어 라운드테이블 행사에서 발표하고 있다. / 사진제공= 핌코(2024.01.22)
핌코의 모힛 미탈(Mohit Mittal) 코어 전략 최고투자책임자(CIO)는 22일 서울 미디어 라운드테이블 행사에서 2024 핌코 경기 순환 전망 보고서의 핵심 내용과 인사이트를 공유하며 "채권은 여전히 밸류에이션 매력이 큰 투자상품"이라고 밝혔다.
모힛 미탈 CIO는 "세계 경제 전망이 여전히 불투명하고 자본시장이 소위 소프트 랜딩(soft landing)을 염두에 두고 있는 여러 거시경제학적 시나리오에서도 채권은 매력적인 수익률과 회복력을 제공하고 있다"며, "지난 2년 간 지정학적 리스크와 시장 변동성이 크게 증가한 상황에서 채권이 지닌 회복력은 특히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현재의 경제 상황이 지속된다면, 채권은 현재의 시작수익률(starting yield) 수준을 기준으로 주식투자와 유사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며, “경기침체가 발생할 경우, 채권은 주식투자보다 더 나은 성과를 낼 수 있고 인플레이션이 다시 발생하더라도 채권의 높은 시작수익률(high starting yields)은 잠재적인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핌코는 미국 연준(Fed)이 "2024년 올해 중반에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하며, "장기적으로는 팬데믹 이전 수준이나 그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돌아갈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그는 “인플레이션이나 경기 침체에 대한 승리를 선언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설명하며, 이는 최근 시장 기반의 금융 상황(financial condition)의 완화 및 소비자-기업 부문의 강세로 인해 다시 불거질 수 있다"고 제시했다.
한국 시장 전망에 대해 모힛 미탈 CIO는 “물가가 하향세를 보이고 있고, 2~2.5%까지 하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한다”며 “한국이 미국이나 유럽 대비 더 낮은 제정 적자를 기록하고 있는 등 지속가능한 재정 수치를 갖고 있는 점을 장점으로 보고 있다”고 평가했다.
정선은 한국금융신문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