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금융감독원은 ‘2022년 1~9월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치)’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다만 생명보험사는 2조9437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0.3%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손해보험사는 4조8175억원으로 22.3% 증가했다고 덧붙였다.
생보사의 경우 보험료수익 감소 등으로 보험영업손익이 악화됐다. 또 채권가격 하락에 따라 금융자산 처분손익이 감소하면서 투자영업이익도 줄었다. 반면 손보사는 장기보험 손해율 하락 등으로 보험영업이익이 개선됐다. 투자영업이익도 환율 상승으로 외화환산이익이 증가하면서 도약했다.
수입보험료 역시 다른 양상을 보였다. 생보사는 77조6871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5.5% 감소했다. 보장성보험과 퇴직연금은 판매가 증가했으나 저축성보험, 변액보험은 판매가 감소해서다. 동기간 손보사는 78조6437억원으로 7.2% 성장했다. 장기보험과 자동차보험, 일반보험, 퇴직연금 등 모든 부문의 원수보험료가 고르게 늘어났다.
특히 올 3분기 보험업계의 총자산은 1305조8000억원, 자기자본은 84조3000억원으로 각각 전년 말 대비 3.9%, 37.4% 감소했다. 환율이 상승했지만, 금리 상승 영향으로 매도가능증권평가손익이 51조7000억원 줄어서다. 국고채 10년물 금리는 지난해 말 2.25%에서 지난 9월 4.1%로 치솟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금리‧환율 변동성 증대와 부동산 경기 악화 등 대내외 경제 여건 변화에 따른 잠재 부실이 확대될 수 있다”며 “재무건전성 취약 우려 보험사를 중심으로 손실 흡수능력 제고를 유도하고 주요 리스크에 대한 상시감사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 신회계제도(IFRS17) 도입을 고려해 선제적인 자본충실화를 유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형일 기자 ktripod4@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