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7일 '2021년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서 1분기 실질 GDP(국내총생산)가 전기대비 1.6%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1.8% 증가했다.
작년 3분기 실질 GDP가 전기대비 2.1% 성장한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분기 별 성장률은 코로나19 사태로 2020년 1분기(-1.3%)와 2분기(-3.2%)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3분기(2.1%), 4분기(1.2%)에 반등한 바 있다.
올해 1분기 성장률을 보면, 민간소비와 정부 소비 및 설비투자가 증가로 전환한 점이 반영됐다. 건설투자 및 수출 증가폭이 축소됐으나 증가세가 이어졌다.
민간소비는 승용차와 가전제품 등 내구재와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 등이 늘어 1.1% 증가했다.
정부 소비는 물건비 지출을 중심으로 1.7% 늘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이 늘어 0.4% 증가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와 운송장비가 모두 늘어 6.6% 늘었다.
수출은 자동차와 이동전화기 등을 중심으로 1.9% 증가했으며, 수입은 기계 및 장비, 1차 금속제품 등이 늘어 2.4% 증가했다.
경제활동 별로는 건설업 증가폭은 축소됐으나 제조업과 서비스업 모두 증가세를 지속했다.
농립어업은 재배업을 중심으로 6.5% 증가했다. 제조업은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기계 및 장비, 운송장비 등이 늘어 2.8% 증가했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기업을 중심으로 6.2%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이 늘어 0.4% 늘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금융 및 보험업 등이 늘어 0.8% 증가했다.
1분기 실질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개선의 영향으로 1.8% 증가해 실질 GDP 성장률을 웃돌았다.
앞서 한은은 1분기 성장률이 1.3% 정도면 코로나19 영향이 없었던 2019년 4분기 수준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는데, 이날 속보치 성장률(1.6%)은 이보다 높게 나타났다.
박양수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은 이날 기자설명회에서 "총재께서 앞서 올해 성장률의 경우 3%대 중반은 충분할 것이라고 했는데, 2~4분기 분기 별로 0.5%씩 성장하면 산술적으로 연간 3.6% 성장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연간 4% 성장이 가능하려면 2~4분기에 각 0.7~0.8%씩 성장하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박양수 국장은 "일시적 요인일 거냐, 추세적일 거냐로 연간 전망치를 수정하게 되는데, 상방요인과 하방요인을 종합해서 5월에 조사국에서 성장률 수정 전망을 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