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승원 연구원은 "현재로서는 금통위의 정책 방향이 완화, 긴축 중 어디로도 움직일 수 없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강 연구원은 "코로나로 인한 내수 부진 심화에도 수출 경기 개선세는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 더해 1분기 추경으로 정부 지출이 확대될 것"이라며 "수정경제전망에서는 성장률 및 물가 전망치 상향 조정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밝혔다.
다만 지난주 홍남기닫기

그는 "당분간 금통위는 시장 중립 재료"라며 "시장은 대내 재료보다는 대외 금리 민감도가 커질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여전히 단기채를 통한 방어적 포지션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미국의 금리 방향은 상승이지만, 긴축 우려로 인한 상승분은 되돌려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미 하원은 26일 1.9조달러 추가부양정책을 표결할 예정"이라며 "추가부양정책이 구체화되자 지난주 미국채 명목금리가 급등하고 실질금리 역시 큰 폭 상승했다"고 지적했다.
특기할 점은 유로달러 선물에 반영된 2023년, 2024년 기준금리 전망이 큰 폭 상승했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결국 금번 명목금리 급등은 공격적 정부 지출이 경기 과열을 유도해 연준의 긴축을 앞당길 수 있다는 시장의 우려를 반영한 것이라고 풀이했다.
그는 다만 "당사는 대규모 정부 지출에도 연준의 긴축이 앞당겨질 가능성은 제한적으로 판단한다"며 "현재 연준은 고압경제(의도된 경기 과열)를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때 과열의 기준은 물가가 아닌 고용"이라고 밝혔다.
1.9조달러 추가부양정책의 49.2%가 사실상 소득 지원금이라는 점에서 단기적인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것이나 고용 시장 과열로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강 연구원은 "실제로 정부지원이 시작된 1월 고용지표는 실업률은 하락했지만 참가율 하락과 영구 해고자 비중 확대 등 질적 개선세가 요원하다"면서 "연준 입장에서 긴축 논의는 시기상조"라고 평가했다.
그는 "당사는 긴축 가능성이 아닌 기대인플레이션 확대에 의한 미국채 금리 상승을 전망하고 있으며 지난 11월 연간 전망을 통해 2분기 초 미국 10년 국채금리 상단을 1.50%로 제시한 바 있다"며 "여전히 미국채 금리 추가 상승 여력이 있지만 긴축 우려로 인한 금리 상승분은 반납되며 속도조절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어 "다시 기대인플레이션이 주도하는 금리 상승 국면으로 전환을 전망한다"면서 "이에 실질금리는 하향 안정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