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신평과 S&P Global Ratings는 27일 '2021년 신용위험 전망 : 경제 회복과 부채 증가의 균형잡기'를 주제로 온라인에서 공동 세미나를 개최하고 증권업 신용 전망에 대해 이같이 전망했다.
이날 세미나에서 이혁준 나이스신평 금융평가본부장은 사상 최저 금리와 최대 유동성을 긍정적 요인, 실물경제와 괴리된 증시 과열을 부정적 요인으로 지목했다.
증시 과열을 판단하는 지표 중 하나로 증시 시가총액을 명목GDP(국내총생산)로 나눈 '버핏 지수(Buffett Indicator)'를 제시했다.
이 본부장은 "2020년 말 버핏 지수는 125.0%로 역대 최고"라며 "실물경제와 주가지수 간의 괴리가 매우 크게 벌어진 상태로 볼 수 있다"고 판단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이 여전히 지속 중이고, 각국 중앙은행은 계속 돈을 풀고 있는 점을 지적하며 "막대한 유동성에 기반한 역대급 강세장이 이어지고 있어 2021년 증권사는 대체적으로 좋은 실적을 낼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이 본부장은 "실물경제와 괴리가 지나치게 심화된 주식시장은 견고하다고 보기 어렵다"고 했다. 경제성장과 무관하게 유동성의 힘으로 급등한 점을 감안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본부장은 "주식시장의 높아진 변동성이 2021년 증권사 실적의 큰 변수"라며 "아직은 유동성 파티가 진행 중이지만 증권사와 투자자 모두 이러한 변동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