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한국거래소가 발표한 '2020년 ETF 시장 동향 및 주요 특징 분석'에 따르면 작년 국내 ETF 시장 일평균거래대금은 3조8433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의 1조3332억원 대비 무려 188.3% 상승한 규모다. 지난해 3월 19일에는 14조원이 거래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기도 했다.
지난해 말 기준 ETF 순자산총액은 52조원으로 전년 말 대비 3000억원 이상 증가했다. 종목 수는 450종목에서 468종목으로 18개 늘었다.
거래소 측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초저금리, 고유동성, 시장 변동성 확대로 개인의 직접 투자가 증가해 공모펀드 시장은 부진했다”라며 “장내 거래가 가능한 ETF는 성장 기조를 유지한 채 국내주식형 상품 편중 현상도 완화됐다”고 말했다.
업종별로는 국내 주식 섹터 비중이 지난 2019년 69%에서 작년 57.6%로 줄었다. 반면 국내 채권은 7.3%에서 10.6%로 늘었으며, 해외 주식 섹터 비중 또한 4.5%에서 8.1%로 증가했다.
거래소는 작년 ETF 시장이 양적성장뿐 아니라 질적성장도 이뤄냈다고 평가했다.
지난해 신규상장 종목 수는 총 47종목으로 전년(48종목)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반면 상장폐지 종목 수는 총 29종목으로 전년(11종목) 대비 증가했다. 관심이 저조한 소규모·저유동 종목을 상장폐지 함으로써 상품라인업을 정비한 것으로 풀이된다.
아울러 시장변동성 증가로 레버리지 및 인버스 ETF 상품에 쏠림 현상이 발생했으나, 레버리지 상품에 대한 기본예탁금 도입, 투자자 의무교육 시행, 위탁증거금 100% 징구 등 건전화 방안 시행을 통해 안정화했다는 설명이다.
코로나19 시대의 새로운 투자트렌드인 헬스케어, 비대면,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등 상품다양화를 통한 투자자 선택의 폭 또한 확대됐다. 또 정부의 K-뉴딜정책에 부응해 다양한 뉴딜지수 기반 상품이 상장됐다.
거래소는 “K-뉴딜 관련 상품 수는 국내 업종 섹터 내 11.8%에 불과하지만, 순자산가치 비중은 25.4%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주식형 액티브 ETF를 도입하는 등 초과수익을 추구하는 투자수요에 맞춰 새로운 유형의 상품도 추가됐다.
작년 투자주체별 ETF시장 매매비중은 개인 43.0%, 외국인 37.8%, 기관 19.2%로 집계됐다. 개인과 외국인은 전년 대비 각각 4.4%포인트, 9.1%포인트 늘었다. 반면 기관은 13.6%포인트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ETF 시장에 대한 외국인의 관심이 높아졌다는 분석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지난해 ETF 시장은 코로나19 위기에도 불구하고 공모펀드시장의 버팀목 역할을 수행하며 양적성장을 이뤘다”라며 “상품라인업 정비, 다양화 등 상품성 개선을 통해 질적성장도 함께 이뤄냈다”고 평가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