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원화, 위안화 등 소위 아시아 경상수지 흑자국들의 통화가 최근 더 뚜렷하게 강세를 나타내는 근간에는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교역 여건의 변화가 상당한 영향을 미쳤다"면서 이같이 예상했다.
공 연구원은 "교역 여건이 코로나19에 의해 큰 변화를 겪었다고 평가하는 내용은 다름 아닌 팬데믹으로 글로벌 경제 성장과 교역이 동시에 둔화됐지만, 상대적으로 교역의 둔화 정도가 크지 않다는 것"이라며 "여기서 언급되는 상대적 비교의 대상은 금융위기 국면으로 바로 2009년"이라고 밝혔다.
현재 IMF 등의 추정 및 전망치를 기준으로 볼 때 올해 세계 경제의 성장률은 2009년과 비교할 때 매우 부진한 반면에 교역의 감소 정도는 유사하다고 밝혔다.
교역량이 줄어든 수준은 비슷한데 성장률이 더욱 큰 폭으로 둔화됐으니, 성장률의 둔화에 비해 교역이 감소하는 정도가 덜하다는 의미다.
그는 "이를 용어로 정리한다면 교역의 (성장률에 대한) 탄성치(탄력도)가 금융위기 당시에 비해 덜하다 정도가 된다"면서 "실제 글로벌 상품 교역은 팬데믹 초기에 금융위기 수준으로 위축됐으나 이후에 빠르게 반등했다"고 밝혔다.
이번 코로나19에 따른 경제 충격이 서비스업에 직격탄을 날렸다는 점도 주목할 대목이라고 밝혔다.
공 연구원은 "최근 파월 연준 의장은 미국 경제에서 상품 소비는 코로나 이전과 유사한 수준으로 회복됐으나, 서비스업은 크게 부진할 뿐만 아니라 재확산 우려로 더 악화될 가능성을 염려했다"면서 "더구나 서비스업은 직접적으로 상품을 생산하는 제조업에 비해 글로벌 교역과의 상관 관계 자체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를 종합할 때 ‘금융위기와 비교할 때 성장이 둔화되는 정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둔화된 교역에서’ 그리고 ‘상품을 생산하는데 경제 구조가 더욱 특화된 반면 서비스업 비중은 다른 선진국에 비해 낮은’ 한국, 중국 등이 다른 국가들에 비해 탁월한 경제적 성과를 보인 결과가 외환시장에서도 고스란히 반영되고 있다는 추론이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또한 중국 당국의 위안화 국제화 추진에 따른 통화 강세 용인, 원화의 위안화에 대한 Proxy로서의 역할 등과 같은 요인들을 감안할 때 현재의 원화 강세는 상당기간에 걸쳐 지속될 수 있으며, 당사는 그 시한을 1차적으로 내년 상반기까지로 제시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