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승원 연구원은 "FOMC는 추가 정책 대응보다는 개입 가능성을 열어두는 회의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11월에 이어 재정정책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기존 통화정책은 동결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금은 코로나19로 발생한 위기 중 유동성의 위기, 신용의 위기는 해결됐고 실물의 위기만 남아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강 연구원은 "실물 위기 극복을위한 연준의 역할은 QE를 통한 정부 유동성 지원, 안정적인 실질금리 유지, 정부 이자비용 관리가 있다"면서 "코로나19 직후 연준의 무제한 채권 매입을 통해 정부는 현재 1.5조달러의 현금을 보유 중"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추가 유동성 지원은 대규모 경기부양정책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에서 아직 연준의 추가 대응은 필요하지 않다"면서 "이에 더해 최근 미국 명목 국채금리가 상승했지만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을 동반하며 실질금리는 오히려 하락했다"고 밝혔다.
실질금리 차원에서 금융시장 여건은 더 완화됐다는 것이다.
그는 "정부 이자비용 역시 부담스럽지 않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연간 채권 발행 중 T-bill 발행 비중이 압도적(회계연도 기준 2020년: 81%, 2021년: 77.5%)이라고 밝혔다. 이에 이자비용 관리는 1년 이하 단기금리가 가장 중요하다고 밝혔다.
그는 "문제는 2020년 회계연도의경우 2% 기준금리에서 시작해 2020년 3월에서야 0.25%에 도달했다"면서 "평균 기준금리는 0.94%"라고 지적했다.
결국 2021년 회계연도 단기금리는 전년 대비 압도적으로 낮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는 "실제로 2021년 회계연도(10월, 11월) 이자비용은 528.2억달러로 직전 회계연도 이자비용의 두 달치(연간이자비용의 16%) 대비 39% 적다"면서 "추가 통화 완화의 선결 조건은 추가 재정정책"이라고 밝혔다.
국내 채권시장은 아직 장기물 수급 불균형 우려를 일소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2021년 국고채 발행계획에서는 2~3y 단기채 비중을 30±5%(2년물 8~9%), 5~10y 중기채 비중을 40±5%, 20y 이상 장기채 발행 비중은 30±5%로 결정됐다.
강 연구원은 "2020년 11월 누적 기준 실제 발행 비중과 비교해보면 5년물, 20년물 발행비중은 소폭 축소되겠지만 이외 만기물은 발행 비중 변화가 사실상 없다"면서 "정부가 2021년 상반기 예산 배정을 72.4%로 확정했음을 감안하면 추경은 기정 사실"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초장기물 발행 일부 축소만으로는 장기채 발행 부담 일소되기는 어렵다"면서 "여전히 장기채에 대한 신중한 접근 권고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