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찬희 연구원은 "코로나19 재확산과 정책 효과 약화 등으로 업종 전반적으로 고용 개선세가 둔화됐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서비스업은 대면 서비스 업종을 중심으로 개선세가 부진했다고 밝혔다. 숙박음식(10월 +22.7→11월 -1.2만명), 전문서비스(+23.1→+6.0 만명), 소매업(+9.5→3.5만명) 등 전체 19.0만명 늘어 전월(+50.3만명)에 비해 증가 속도가 절반에도 못 미쳤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재화부문 역시 5.5만명 느는 데 그쳤다. 정부부문 또한 인구통계조사 종료 여파가 이어져 9.9만명 감소했다"고 밝혔다.
임금은 그러나 양호한 흐름을 유지했다고 밝혔다.
시간당 평균 임금은 전월대비 0.3% 늘며 업종전반에 걸쳐 오름세가 강화됐다. 전년동월대비로 4%대 증가세를 이어갔고 일부 대면 활동 업종을 제외한 서비스업 임금 상승세가 뒷받침됐다고 밝혔다.
고용시장의 구조적 피해에 남아 있어 소득 절벽을 막기 위한 추가 부양책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김 연구원은 "고용회복을 뒷받침했던 급여보호프로그램(PPP) 등 정부 정책 효과는 상당 부분 소진됐다"면서 "이 가운데 코로나19 3차 확산 가속화로 캘리포니아 등 일부 주에서 락다운을 재개하고 나섰다"고 지적했다.
그는 "소득 감소를 보전하기 위해 지급된 특별 실업수당도 12월로 신규 신청이 끝난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실업자들의 평균 실업기간은 23.2주까지 늘어나 2017~2019년 평균 수준을 넘어섰다"면서 "장기실업자 비중도 36.9%까지 상승해 2009~2010년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코로나19로 인한 구조적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5차 부양책 합의가 필요하다"면서 "역설적으로 부진한 고용 지표가 부양책 합의의 트리거가 될 수 있다"고 냐다봤다.
현재 5,000~9,000억달러 규모로 논의되는 부양책에는 급여보호프로그램(PPP)과 추가 실업수당 등 구제안이 포함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한편 미국의 11월 고용 개선세는 크게 둔화됐다. 비농가취업자수는 전월대비 24.5만명 늘며 45만명 전후로 늘어날 것이란 예상을 하회했다. 직전 2개월 수치도 1.1만명 상향에 그쳤다.
실업률은 전월대비 0.2%p 내린 6.7%로 7개월 연속 하락했다. 다만 경제활동참가율이 전월대비 0.2%p 내린 영향을 감안해야 한다. 경제활동 참가율은 6월 이후 61.5% 수준에 정체돼 코로나19 국면에서 경제활동 참가 의지가 위축돼 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