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코로나19 위기의 고용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다"며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대면서비스 업종에 집중되고 노동 수요·공급 충격의 파급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산업별, 충격원인별로 차별화된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은은 "3~4월중 기업의 채용이 감소하고 비자발적 실업자가 양산되는 한편 가계의 노동시장 참여도 크게 위축됐다"면서 "이는 기업의 고용이 줄어드는 노동수요충격과 가계의 구직활동이 위축되는 노동공급충격이 혼합된 결과"라고 진단했다.
이어 "코로나19의 충격은 노동 수요 및 공급 전방위로 파급되고 있는 데다 충격의 영향이 부문별로 차별화되고 있는 만큼 충격의 원인(source)을 파악한 후 적절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산업별로는 숙박음식, 예술·스포츠·여가, 교육 등 주로 대면접촉이 많은 업종에서 충격이 크게 발생했다.
특히 두 가지 충격중 부정적인 노동수요충격이 과거에 비해 크게 확대된 점은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또한 총근로시간의 충격 반응을 보면, 노동수요충격의 영향이 노동공급충격에 비해 더 크고 오래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은 "이러한 분석결과는 금번 코로나19 위기의 고용에 대한 부정적 영향이 앞으로도 상당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며 "코로나19의 부정적 영향이 대면서비스 업종에 집중되고 노동 수요·공급 충격의 파급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하여, 산업별, 충격원인별로 차별화된 대응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노동수요충격이 과거에 비해 크게 확대됐는데, 수요충격이 누적될 경우 이력현상 등 구조적 문제로 악화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수요충격에 대한 노출이 큰 산업을 중심으로 노동시장 안정화에 주력이 필요해 보인다"고 밝혔다.
장기적으로는 "원격근무 확대, 디지털 전환 등으로 노동시장의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일자리 구조변화를 점진적으로 추진해 나가되, 그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중·저숙련 일자리 소멸, 일자리-기술 미스매치 심화 등 취약부문의 고용악화에도 유념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