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원 연구원은 "코로나19로 인한 경제 위축이 여실히 확인됐다"면서 이같이 전망했다.
5월부터 지역 봉쇄를 완화하고 연방정부가 부양책을 펼쳤음에도 수요 공백을 상쇄하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김 연구원은 "2분기 성장 충격은 예상됐던 만큼 하반기 경로가 중요하다"면서 "3분기 GDP는 기저효과에 따라 전기대비연율 10% 중후반의 반등을 이룰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다만 "6월 중순부터 코로나19 재확산에 지표 개선세가 둔화된다. 전년동기대비 한 자릿수 중후반 역성장이 지속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민간 수요 회복이 미진한 가운데 추가 부양책 여부가 경기 업사이드를 결정한 변수라고 밝혔다.
그는 "CAREs Act에 근거한 기본소득, 실업급여 등 소득 지원 효과는 7~8월 중 소멸된다"면서 "5차 부양책이 차질 없이 진행될 경우 경기의 완만한 개선이 가능하다"고 진단했다.
다만 집행이 지연되거나 집행 규모가 1조달러 미만으로 줄어들 경우 성장 하방 위험이 상존한다고 밝혔다.
■ 미국 민간소비 부진엔 서비스 감소 주효
미국의 2분기 GDP 속보치는 전기대비연율 32.7% 줄며 1947년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락다운 조치로 경제활동이 중단된 영향이다.
서비스를 중심으로 민간소비는 34.6% 급감했고 고정자산투자도 29.9% 줄었다. 생산 차질로 인한 재고가 소진되며 재고 성장기여도는 -3.98%p를 기록했다. 순수출 성장기
여도는 수출 급감에도 수입 감소폭이 더 큰 까닭에 플러스(+)를 이어갔다.
김 연구원은 "미국 민간소비 부진은 서비스(SAAR -43.5%) 감소가 주효했다"면서 "재택명령으로 헬스케어와 음식료숙박, 여가서비스 순으로 큰 타격을 입었다"고 지적했다.
생활 필수품이 주로 포함된 비내구재(-15.9%)도 사재기 완화, 경제 활동 위축에 감소했다. 내구재(-1.4%)는 기본소득 지급과 비대면 수요 증대 등에 감소폭이 제한됐다.
고정자산투자는 주거용(-38.7%)과 비주거용(-27.0%) 모두 부진했다. 불확실성으로 구조물과 운송장비 등 설비투자가 이연됐다. 대외 수요 위축에 수출(-64.1%)이 급감했으나 수입 감소폭이 커 순수출 성장기여도는 +0.68%p를 기록했다. CAREs Act 등 부양책 지출에 정부지출은 2.7% 늘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