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사태 이후 민간소비는 증가로 전환됐지만 수출이 큰 폭으로 줄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23일 발표한 '2020년 2/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속보)'에 따르면 2020년 2/4분기중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대비 3.3% 감소했으며 전년동기대비 2.9% 감소했다.
니는 IMF 외환위기였던 1998년 1분기 -6.8%를 기록한 이후 최저치다.
실질 국내총소득(GDI)은 교역조건 개선의 영향으로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3.3%)을 상회하는 -2.0%를 기록했다.
지출항목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증가로 전환하였으나 수출이 큰 폭으로 줄어들고 건설 및 설비 투자도 감소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소비는 내구재(승용차, 가전제품 등)를 중심으로 1.4%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물건비 지출이 늘어 1.0%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1.3%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가 줄어 2.9% 감소했다.
수출은 자동차, 석탄 및 석유제품 등이 줄어 16.6% 감소했으나 수입은 원유 등을 중심으로 7.4% 감소했다.
경제활동별로는 서비스업의 감소폭이 축소됐으나 제조업이 큰 폭으로 줄고 건설업도 감소로 전환됐다.
농림어업은 채소 등 작물이 줄어 9.7% 감소했다.
제조업은 운송장비,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 등을 중심으로 9.0% 감소했다.
전기가스수도사업은 전력판매량이 감소했으나 발전효율 향상으로 2.8%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이 줄어 0.2%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운수업, 문화 및 기타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1.1% 감소했다.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