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통화당국은 향후 경제 회복이 가시화될 때까지 소위 ‘출구전략’이라고 할 수 있는 기준금리 인상이나 유동성 회수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공 연구원은 "출구전략까지 시간이 걸린다는 점이 금리 상승을 제어할 순 있겠으나 채권 강세 요인으로 보긴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코로나19 위기 극복과 경기 부양을 위해 각국 정부가 확장적 재정정책을 동원하기로 함에 따라 늘어나는 국채 물량 부담은 수급 면에서 일단 금리 상승 재료"라고 밝혔다.
그는 "중앙은행들이 양적완화(QE) 등을 통해 국채 물량 소화에 나서고 있으나 일단 늘어난 물량에 대한 부담을 줄이려는 방어적인 성격이 강하다"고 평가했다.
채권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위험자산 영역인 크레딧 채권에 대해서는 관심을 권고한다고 밝혔다.
그는 "적극적인 유동성 공급 확대의 수혜가 크레딧물에 전달될 가능성이 있으며, 신용도가 높은 크레딧 채권에 대한 편입 확대를 제안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