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한국이든 미국이든 지금 시점에서 통화당국이 가장 경계하는 사안은 금리 상승이란 점이 다시 확인되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공 연구원은 "이주열닫기

그는 "파월 연준 의장은 고용지표가 개선된 것은 좋은 징후이나 코로나19 사태가 경제에 영구적인 손상을 가할 수도 있다는 등의 경고성 발언을 내놨다"면서 "게다가 금리를 인상할 생각조차 하지 않고 있다고 했으며, 모든 정책수단을 추가로 활용할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고 지적했다.
통화당국의 경기 판단이 신중론에 가까운 방향으로 맞춰진다는 것이다.
공 연구원은 "중앙은행의 경기 평가는 가능한 중립적이고 객관적으로 이뤄질 필요가 있겠으나 정책 당국의 경기 인식은 추후 행보들과 직결될 수 있는 일종의 편향성(bias)을 지니고 있다"면서 "그 만큼 추후 완화적 행보를 이어가기 위한 복선의 의미로 풀이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했다.
그는 "아울러 이와 같은 통화당국 차원의 경기 진단 기저에는 현 상황에서 자칫 금리가 상승할 경우에 발행할 수 있는 부작용이 상당하다는 것을 동시에 내포한다"고 해석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