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미국 연준(FRB)에 이어 일본 역시 규모를 정하지 않는 국채매입을 발표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일본은행은 27일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경제 충격 우려로 무제한 국채 매입을 선언했다.
일은(BOJ)은 금융정책결정회의를 통해 당분간 상한 없이 국채를 매입하고 사채와 기업어음(CP) 매입도 대폭 확대키로 의결했다.
공 연구원은 "일본은행은 종전까지 보유 국채의 잔고 증가액 목표를 연간 80조엔으로 제시하고 탄력적인 매입 의사를 밝혔으나 이번 회의를 통해 매입 한도를 삭제했다"면서 "미국 연준이 지난 3월 긴급 FOMC를 통해 밝힌 '필요로 하는 만큼(in the amounts needed)' 국채를 매입하겠다고 선언한 것과 같은 개념"이라고 진단했다.
공 연구원은 "이미 중앙은행 차원에서 매입을 진행하고 있었던 회사채나 CP 매입 규모는 종전 7.5조엔에서 3배 이상 늘어난 20조엔으로 한도를 확대했고, 매입 가능한 회사채의 잔존 만기를 5년으로 늘렸다"고 지적했다.
BOJ는 지난 달에는 ETF 매입 규모를 연 6조엔에서 12조엔으로, J-REITs도 연 900억엔에서 1,800억엔으로 늘린 바 있다.
한편 BOJ는 경제 및 물가 전망을 대거 낮췄다. 우선 2020 회계연도(2020년 4월~2021년 3월) 실질 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0.9%에서 -5.0~-3.0%로 낮춰 마이너스 성장률을 전망했고, 근원 CPI 상승률 예상 역시 0.9%에서 -0.8~-0.4%로 낮췄다.
공 연구원은 한국 채권시장도 '문제는 수급'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우리는 글로벌 주요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 외에 비전통적인 통화정책 수단인 직접적인 채권 매입과 같은 방식으로 선회하고 있는 과정에 있다고 평가한다"면서 "이는 동시에 국내 통화당국의 향후 행보에도 상당한 명분을 제공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그는 "한국 채권시장의 관점에서도 기준금리 추가 인하 여부 만큼이나 통화당국 차원의 채권 매입이나 수급 부담을 완화하는 행보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