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원회는 31일 올해 제1차 사회적금융협의회를 열고 이 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는 금융위, 기획재정부, 중소벤처기업부, 금융감독원, 서민금융진흥원 등 17개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서면회의로 진행됐다.
이날 회의에서는 코로나19 사태로 어려움을 겪는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사회적금융 집행 현황을 점검하고, 코로나19 대응 정책 자금이 이들 사회적기업에도 차별없이 지원되는지 점검했다.
올해 사회적경제기업 대상 자금공급 목표는 4725억원으로 지난해(3230억원)보다 32.4% 늘었다. 유형별로는 대출이 1210억원, 보증 2300억원, 투자 765억원 등이 해당될 예정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사회적경제기업도 중소기업 소상공인에 해당될 경우 코로나19 정책자금 등을 동일하게 지원하고 있음을 확인했다”라며 “사회적기업 등이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은행권의 지난해 대출잔액은 8498억원으로 지난 2018년 말(5374억원) 대비 58.1% 증가했다.
사회적기업에 대한 대출이 6295억원(74.1%)으로 대부분이며, 협동조합 2020억원(23.8%), 마을기업 145억원(1.7%), 자활기업 38억원(0.4%) 순이었다.
은행별로는 기업(2460억원, 28.9%), 신한(1631억원, 19.2%), 농협(1409억원, 16.6%)의 실적이 전체 실적의 과반 이상(5500억원, 64.7%)을 차지했다. 지방은행은 대구(268억원, 3.2%), 경남(117억원, 1.4%), 부산(108억원, 1.3%) 순이었다.
대출외 지원으로는 기부·후원이 145억원(74.5%)으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이어 제품구매 44억원(22.4%), 출자 5억원(2.3%) 순으로 조사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앞으로도 사회적금융협의회의 운영을 통해, 자금공급, 인프라 구축 등을 적극 추진해 나갈 예정”이라며 “특히 코로나19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회적경제기업에 사회적금융 정책자금 등이 원활히 공급되도록 사회적금융 담당기관과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