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형 연구원은 “연준의 통화정책 구조상 정책금리 인하만으로 유동성확장을 유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연구원은 “미국이 정책금리를 50비피 인하했지만 주가지수와 장기금리는 주요 기술적 지지선을 크게 하향했으며 변동성도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는 코로나19의 확산이 지속되면서, 경제환경의 불확실성이 그만큼 높아진 것으로 평가할 수도 있지만 통화정책이 시중 유동성에 미친 효과가 기대보다는 크지 않아 금융시장 불안이 확대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단기국채 매입과 레포자금 공급은 일시적인 연준의 자산증가로 이어진다”면서 “이를 통해 상업은행의 현금 자산이증가하면서 유동성 제약을 완화시키지만 단기적인 조치이기 때문에 상업은행 시스템을 통해 공격적으로 유동성이 공급되기는 어려워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따라서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는 양상이 나타난다면 실질적으로 유동성이 공급을 확대시키는 정책에 대한 기대가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 연구원은 미 장기금리 향방에 대해 “연준의 추가적인 금리인하는 안전자산선호를 강화시켜 장기 국채 금리 하락 압력이 커질 것이지만 미국 상업은행이 국채 등 현금성 자산을 크게 보유하고 있고 실질적인 유동성 공급 조치로 위험선호 심리를 자극할 수도 있다”면서 “장기금리 국채 금리를 크게 반등시키는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우리나라 통화정책에 대해서 그는 “대외변수의 충격이 아직 지켜볼 여지가있고, 미국 등 선 진국 통화정책의 변화를 확인해야 하는 점과, 재정지출이 향후 채권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살펴야 하는 점이 있다”면서 “정책금리 결정이 꼭 정기 금통위회의에서 결정될 필요가 없는 만큼, 추경관련 변수와 외생변수 변동에 따라 한은의 정책금리 변경 가능성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