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1일 금감원은 '열린 문화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밝혔다. 금감원이 금융소비자 보호 기능을 키우기 위해서는 일하는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를 위해 ▲금융감독 역량 강화 ▲신뢰받는 금감원상(像) 정립 ▲창의적 근무환경 조성 등 세 가지 목표를 세웠다.
우선 금감원은 금융사 등 시장 참여와의 소통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쓴소리 토크'와 같은 강연회에 전·현직 금융회사 임직원, 금감원 OB를 초빙해 외부 의견을 가감없이 듣겠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무관용 원칙'을 내걸고 내부 임직원에게 청렴성과 관련한 개인적 하자가 발견되면 보임을 주지 않을 계획이다. 국회‧정부부처‧학계‧언론 등 대외기관과의 소통도 강화하기로 했다.
기능별 감독·검사 시스템를 강화할 예정이다. 검사·조사‧감리 등 특정 분야에서 정년까지 전문가로 일할 수 있는 전문감독관(Specialist) 제도를 도입한다. 전문 감독관제는 검사·조사·감리 등 특정 분야에서 정년까지 전문가로 일할 수 있는 제도다.
현재 단기간 순환 인사 제도가 이뤄졌던 관행을 지양하기로 결정함에 따라 기능별 직군제 도입을 추진한다. 금감원이 필수적으로 해결해야 할 업무가 아니라면 이를 관련 협회로 이관하는 등 현안에 유연하게 대처할 계획이다.
아울러 그간 관행적으로 해왔던 비효율적 업무를 폐지하기 위해 워크 다이어트 위원회를 설치한다. 넥타이를 매지 않는 복장과 호칭의 수평적 개선을 검토할 방침이다.
유선희 기자 ys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