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순대외금융자산은 연말기준으로는 최초로 5,000억 달러를 웃돌았고 2018년 이후 2년 연속 증가를 기록했다.
한은이 이날 발표한 ‘2019년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대외금융자산(1조 6,997억달러)은 거주자의 증권투자 잔액(1,070억달러 증가)이 크게 늘어나면서 전년말 대비 1,534억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에선 지분투자(314억달러증가)를 중심으로 전년말 대비 349억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지분증권, 부채성증권투자 (각각 838억달러, 233억달러 증가)를 중심으로 전년말 대비 1,070억달러 증가했다.
대외금융부채는 1조1,988억달러로 전년말 대비 886억달러 증가했다.
직접투자에선 지분투자(10억달러)를 중심으로 전년말 대비 13억달러 증가했다.
증권투자는 국내주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전년말 대비 747억달러 증가했다.
대외채권은 9,476억달러로 전년말(9,188억달러) 대비 288억달러 증가했다.
만기별로 보면 단기 대외채권 18억달러 감소한 반면 장기 대외채권은 306억달러 증가했다.
단기 대외채권은 기타부문의 현금및예금(44억달러) 등이 감소했고 장기 대외채권은 기타부문의 부채성증권(227억달러) 등이 증가했다.
부문별로 보면 일반정부(1억달러), 중앙은행(52억달러), 기타부문(240억달러)은 증가한 반면, 예금취급기관(5억달러)은 감소했다.
대외채무는 4,670억달러로 전년말 대비 258억달러 증가했다.
만기별로는 단기외채 89억달러, 장기외채는 169억달러 증가했다.
단기외채 증가는 예금취급기관의 차입금(55억달러)이, 장기외채증가는 일반정부의 부채성증권(77억달러)이 주도했다.
부문별로는 일반정부(83억달러), 예금취급기관(147억달러), 기타부문(55억달러)이 증가한 반면, 중앙은행(26억달러)은 감소했다.
일반정부, 기타부문의 대외채무 증가는 부채성증권(각각 77억달러, 65억달러)이, 예금취급기관의 대외채무 증가는 차입금(53억달러)이 주도했다.
중앙은행의 대외채무 감소는 부채성증권(26억달러) 감소에 기인했다.
이지훈 기자 jihunlee@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