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마지막 거래일 글로벌 자산시장에서 형성된 위험자산 선호 분위기가 새해 첫 거래일 서울환시에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글로벌 달러의 하락 기조도 이날 달러/원 환율에 하락 압력을 가할 것으로 보인다.
여하튼 지난달 31일(현지시간) 미국 뉴욕금융 시장은 미중 무역합의 낙관론에 따라 리스크온 분위기 속에 거래를 마쳤다.
미중 무역합의 낙관론 부각은 도널드 트럼프닫기

그는 이어 "나중에 내가 베이징에 가서 다음 단계 협상을 시작할 것"이라고 적었다.
이에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76.30포인트(0.27%) 상승한 2만8538.44를,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도 높아진 9.49포인트(0.29%) 상승한 3230.78을 각각 기록했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사흘 만에 반등하며 26.61포인트(0.30%) 오른 8972.60에 장을 마쳤다.
글로벌 달러도 4거래일째 약세를 이어갔다.
뉴욕 외환시장에서 주요통화 대비 미국 달러화 가치는 0.3% 하락했다. 달러인덱스(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는 96.435를 기록했다. 지난해 7월 1일 이후 6개월 만에 최저치다.
달러/위안 역외환율은 6.9586위안으로 전장대비 0.4% 떨어졌다.
이처럼 지난 연말 글로벌 자산시장 분위기는 분명 서울환시 달러/원 환율의 하락을 지지하고 있다.
다만 북한 리스크는 연말 이후 새해에도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여 달러/원 환율 하락폭과 속도를 제어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달 31일 전원회의 보고에서 "머지않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보유하게 될 새로운 전략무기를 목격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 금융시장이 김 위원장의 이러한 발언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았지만, 북한발 지정학적 리스크에 유독 예민한 서울환시는 예외의 반응을 보일 수도 있어 시장 참가자들의 주의가 요구된다.
A 은행의 한 딜러는 "1단계 미중 무역합의 서명 일정이 확정되고 달러/위안 하락세가 뚜렷하기 때문에 달러/원 환율은 하락 움직임을 피하긴 어려워 보인다"면서 "오늘 외국인 주식 순매수까지 어우러지면 달러/원은 1,150원대 중반 아래서 주로 움직임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B 은행의 한 딜러는 "북한의 도발적 말 폭탄에 역외가 롱 쪽으로 포지션을 돌려세운다면 달러/원의 하락은 쉽지 않을 것이나, 국내 주식시장이 북한 리스크를 외면하고 외국인 매수세를 동반하며 오름세를 보인다면 달러/원도 아래쪽으로 방향을 설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성규 기자 ks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