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반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회사채 및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 투자, 해외투자, 부동산·실물자산 등에 투자하는 대체투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회사채 및 여전채가 전체 채권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07년 말 11.8%에서 2019년 10월말 22.0%로 상승했다.
해외투자도 2009년말 124조1000억원에서 올해 9월말 527조2000억원으로 324.9% 증가하면서 금융기관의 운용자산 대비 비중이 동기간 4.5%에서 9.8%로 상승했다.
한은은 “특히 보험회사·증권회사·투자펀드 등 비은행 금융기관의 해외자산 규모가 2009년말 62조원에서 올 9월말 365조2000억원으로 489.3% 증가해 전체 해외투자 증가를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자산대비 위험액 비율과 레버리지 비율이 은행과 보험회사는 하락한 반면 증권회사와 투자펀드는 상승한 것으로 확인됐다.
증권회사의 자산대비 위험액비율은 2009년 말 2.5%에서 올 6월 말 3.8%로 1.3%포인트 상승했다. 투자펀드는 상대적으로 위험선호 성향이 강한 사모펀드 비중이 34.0%에서 61.4%로 상승했다.
증권회사의 레버리지비율 또한 2009년말 476.7%에서 올 9월말 813.4%로 크게 상승했으며, 투자펀드도 104.1%에서 114.5%로 상승했다.
이에 한은은 “저금리 기조가 장기간 지속되고 향후 수익률 추구 경향이 더욱 강화되면서 시스템 취약성이 축적될 가능성에 대해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국내 투자자의 일부 고위험 금융상품에 대한 투자 증가와 금융기관 영업행태의 위험선호 강화는 ▲신용·유동성·외환 리스크 등 제반 리스크의 증대 ▲리스크의 과소평가(underpricing) ▲금융 기관 간 상호연계성 증대를 통해 시스템 리스크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마지막으로 “정책당국은 시스템 리스크의 과도한 축적을 억제하면서 금융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는 균형있는 접근을 강화할 것”이라며 “이와 함께 금융상품 투자 및 금융기관의 영업행태 등에 대한 모니터링 체계를 더욱 확충할 것”이라고 밝혔다.
홍승빈 기자 hsbrobi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