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세계최대급 LNG운반선. /사진=삼성중공업
이 선박들은 미국 오일 메이저 엑슨모빌(ExxonMobil)이 생산하는 액화천연가스(LNG)를 운송할 예정이다.
가장 최신의 멤브레인(MarkⅢ Flex PLUS) 타입 화물창에 재액화 장치가 장착돼 가스 증발률이 낮고, 질소산화물 저감장치(SCR)와 선박평형수 처리장치(BWTS) 적용으로 친환경 규제에 적합한 선박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삼성중공업이 독자 개발한 스마트십 솔루션 에스베슬(SVESSEL)이 탑재돼 연료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최적 운항 계획도 자동으로 수립하는 등 선박의 경제적이고 안전한 운항이 가능하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삼성중공업의 주력 LNG운반선 사양과 품질에 대한 시장의 신뢰가 높다”며, “기술적 강점을 활용해 LNG운반선 수주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중공업은 이번 계약을 포함 현재까지 총 54억 달러를 수주해 목표 78억 달러의 69%를 달성 중이다.
선종별로는 △LNG운반선 13척 △컨테이너선 6척 △원유운반선 14척 △석유화학제품운반선 2척 △특수선 1척 △FPSO 1기 등 총 37척이다.
미·중 무역 갈등 영향 등으로 올해 글로벌 발주량이 감소한 가운데에서도 LNG운반선, 원유운반선 시장 등에서 높은 품질 경쟁력으로 수주가 이뤄지고 있다.
클락슨리서치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이후 삼성중공업은 LNG운반선 31척으로 시장 점유율 30%, 중대형 원유운반선 16척으로 24%를 기록하며 각각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 중이다.
이러한 수주 실적에 힘입어 삼성중공업은 8월 말 기준 전세계 조선소 순위에서 수주잔량 531만CGT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다.
CGT는 선박의 부가가치, 작업 난이도 등을 고려해 산출한 무게 단위로서 가격이 비싼 선박일수록 값이 크다.
삼성중공업의 수주잔고는 2018년 8월 말 177억 달러로 저점을 보인 후 1년 사이에 40억 달러 증가해 10일 현재 217억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
김경찬 기자 kkc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