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가 금융중심지 지정을 위해 전북지역의 준비가 더 필요하다고 보고, 2009년 지정된 서울과 부산의 내실화 노력에 집중한다고 결론지었다.
다만 여건의 성숙도를 감안해 추가 금융중심지 지정 가능성은 열어뒀다.
최종구닫기

이날 논의는 앞서 금추위가 금융연구원에 용역을 준 '금융중심지 추진전략 수립 및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에 대한 내용이 다뤄졌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역 공약에 따라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를 근거지로 둔 전북 혁신도시가 서울과 부산에 이은 제3 금융중심지 지정을 추진해 오고 있어서 관심이 쏠렸다.
논의 결과 금추위는 전북 혁신도시의 금융중심지 지정에 "준비가 더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금추위는 "금융중심지 정책 추진 이후, 다양한 정책과 제도개선으로 금융인프라 개선, 금융산업의 양적성장은 꾸준히 이루어졌으나 전반적인 국제경쟁력과 글로벌 인지도 측면에서 다소 미흡한 점이 있다"고 총평했다.
이어 금추위는 "전북 혁신도시의 경우 금융중심지로 발전하기 위해 종합적인 정주여건 등 금융회사가 자발적 이전을 검토할 여건을 만들고, 농생명과 연기금 특화 금융중심지 모델을 계속해서 논리적으로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금추위는 "서울, 부산이 금융중심지로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수 있도록 내실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집중하는 한편, 금융중심지 추가 지정문제는 국내 금융중심지 후보도시 등의발전 여건의 성숙도를 감안해 능성을 지속 점검하고 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전북 혁신도시의 금융중심지 추가 지정은 사실상 보류가 된 셈이다.
다만 금추위는 "앞으로 전북 혁신도시는 금융도시로 성장하기 위한 지역차원의 정책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갈 것으로 알고 있다"며 "금융중심지 추가 지정문제는 앞으로 여건이 갖춰지면 언제든지 논의 가능하다"고 문을 열어뒀다.
금융중심지는 금융중심지법령에 따라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가 지정 요건을 심의하고 금융위원회에서 지정할 수 있다.
사실상 올해 금융중심지 지정 절차 개시가 이뤄지지 않느냐는 질의에 금융위 측은 "전북 혁신도시 등 잠재 후보도시의 금융중심지 여건 성숙도 및 추진상황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문제"라며 "특정시기를 말하기는 곤란하다"고 답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