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은 국회에 제출하는 법정보고서인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정부의 이전지출 확대 및 내수활성화 정책 등은 소비의 완만한 증가 흐름을 뒷받침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고용상황 개선 지연, 자영업 업황 부진,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국내외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소비심리 부진이 장기화할 경우 민간소비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 유무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다.
한은은 최근의 소비심리와 민간소비의 움직임을 살펴보면 두 변수가 큰 흐름에서는 비슷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으나 변동 폭에는 차이가 있다고 분석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2017년 중 크게 상승하였다가 하락하면서 지난해 8월 이후 대체로 장기평균치(100)를 하회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의 경제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다.
이와 달리 지난해 민간소비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기저효과 등으로 점차 낮아졌으나 대체로 2%대 중반 이상을 유지하면서 소비심리에 비해 둔화 폭이 제한적이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