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국회에 제출하는 법정보고서인 통화신용정책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한은은 "향후 통화신용정책은 대내외 불확실성 요인의 추이와 영향을 고려해 성장과 물가가 예상경로에 부합해 가는지를 면밀히 점검하는 한편 금융안정에도 유의하며 운영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은은 그러면서 "이 과정에서 미·중 무역분쟁, 미 연준의 통화정책 정상화, 국제금융시장 상황,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 등도 주의깊게 살펴볼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 한은, 국회에 금융불균형 확대 방지 차 11월 기준금리 1.75%로 인상했다 설명
한은은 이날 국회에 지난해 11월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에선 금융불균형 확대 방지 차원에서 기준금리를 연 1.50%에서 연 1.75%로 0.25% 포인트 인상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11월 통방 결정회의에서는 ① 향후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높기는 하지만 잠재성장률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성장세가 이어지고 물가상승률이 물가목표에 가까운 1%대 중후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 ② 기준금리가 낮은 수준에서 유지될 경우 금융불균형 확대로 금융안정 리스크가 커질 수 있는 점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고 설명했다.
한은은 2019년 1월 회의에서는 기준금리를 연 1.75%로 유지했다고 밝혔다.
한은은 1월 통방 결정회의에서는 ① 우리 경제가 정부지출 확대 등으로 지난해와 비슷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보이지만 한층 높아진 대외여건의 불확실성 추이와 영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는 점 ② 지난해 11월 금융불균형 확대를 억제하고자 결정한 금리인상의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는 점 등을 고려해 기준금리를 동결했다고 설명했다.
금융안정이란 목적하에 '금융·외환시장 안정, 금융시스템 잠재 위험요 인 조기 포착, 글로벌 외환안전망 강화, 지급결제제도의 안전성 및 효율성 제고' 등에서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기술주 고평가, 미·중 무역분쟁 심화 등에 따른 주요국 주가 급락, 미 연준의 정책금리 인상(2018년 12월) 등으로 국내외 금융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되었던 시기에는「통화금융대책반회의」(7회)를 개최해 금융·외환시장 동향과 영향을 점검했고, 시장안정 메시지를 전달하여 불안심리 확산을 방지하는 등 커뮤니케이션을 강화했다고 소개했다.
지난해 12월「금융안정회의」에서는 가계 및 기업 신용시장, 자산시장, 금융기관 등의 부문별 취약성을 면밀히 평가하고 금융시스템의 대내외 충격에 대한 복원력을 점검했다고 덧붙였다.
김경목 기자 kkm3416@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