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3시20분 기준, 달러인덱스(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는 전장보다 0.1% 오른 97.06을 기록했다. 오후 들어 97.19로 상승했다가 오름폭을 줄였다.
달러화가 강보합세에 머문 가운데 유로화 가치는 소폭 내렸다. 이틀 연속 약세다. 유로/달러는 0.02% 내린 1.1342달러에 호가됐다. 영국 파운드화 가치는 닷새 만에 올랐다. 브렉시트 관련 불확실성이 지속하면서 오름폭은 작았다. 파운드/달러는 0.09% 상승한 1.2732달러를 나타냈다.
엔화 가치는 하루 만에 반락했다. 달러/엔은 113.22엔으로 0.39% 올랐다. 미 주가지수선물이 상승하자 따라 올랐다. 3대 주가지수선물은 0.4~0.7% 오름세를 보였다. 스위스프랑화는 달러화에 약보합세를 이어갔다.
캐나다달러화는 달러화에 0.8% 약세를 기록했다. 캐나다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1.75%로 동결한 후 4분기 경기모멘텀 약화를 경고한 여파다. 국제유가가 하락한 점도 캐나다달러화에 악재로 반영됐다.
미중 무역합의 회의론 속에 중국 위안화는 달러화 대비 약세로 돌아섰다. 위안화 역외환율은 0.15% 오른 6.8607위안을 기록했다. 중국 경제에 대한 글로벌 금융시장 시각을 나타내는 호주달러화도 달러화에 0.9% 약해졌다.
이머징 통화들은 달러화 대비 혼조세를 나타냈다. 터키 리라화 환율이 0.9% 떨어졌다. 러시아 루블화 환율은 0.5%, 멕시코 페소화 환율은 0.03% 각각 낮아졌다. 반면 남아공 랜드화 환율은 0.05% 높아졌다. 아르헨티나 페소화 및 브라질 헤알화 환율은 0.4% 내외로 상승했다.
■글로벌 외환시장 주요 재료
10월 중순부터 11월 말까지 미 경제가 완만한 확장세를 이어갔다고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진단했다. 연준은 12개 연방준비은행 관할 지역의 경제활동 동향을 요약한 베이지북에서 이같이 진단했다. 또한 “제조업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관세인상에 따른 비용 상승이 발생했고 대부분 지역에서 미약한 속도로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진단했다. 주택가격 상승도 대부분 지역에서 이어졌고 임금 상승률은 완만하지만 다소 높은 수준의 상승세를 나타낸 것으로 평가됐다.
장안나 기자 godbless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