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간스탠리의 캐슬린 오 이코노미스트는 "최근 통화정책 보고서에서 한은은 누적된 금융불균형 시정 필요성과 거시경제 상황의 악화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통화정책적 뒷받침 필요성을 거론했다"면서 이같이 내다봤다.
한은이 금융안정 관련 리스크에 대해 대응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낸 만큼 11월에 금리가 인상될 것으로 봤다.
한국은 아시아태평양 지역 피어그룹 가운데 두 번째로 가계부채가 높은 수준이고 이를 제어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한은이 한 차례 금리를 올린 뒤 상당기간 금리를 동결할 것"이라며 "정부 당국이 취약가구를 위한 맞춤형 부채 구조조정 정책을 펴고 있는 만큼 구조적 리스크도 감소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최근 정부는 취약가구와 소규모 자영업자의 부채 상환 부담 완화를 위한 미시적인 대책을 내놓았으며, 이런 처방들이 금융안정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줄여줄 것"이라고 관측했다.
캐슬린 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가계부채의 GDP 대비 비중은 2013년 1분기 69.5%에서 올해 3분기 85.4%로 뛰었다"면서 "지난 2014~2016년 주택시장에 대한 공격적인 규제 완화와 금리 인하로 한국가구의 대출을 통한 주택수요가 크게 일어났다"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높은 가계부채에 의한 시스템 리스크는 크지 않으며, 부채증가 속도는 둔화되고 있다. 2018년 취해진 정책에 의해 부채 증가속도는 더욱 둔화될 것"이라며 "다수의 차입자들은 부채를 상환할 충분한 여력이 있다"고 진단했다.
하지만 길게 보면 한국의 금융안정과 관련한 리스크는 남아 있다고 밝혔다. 가계들의 높은 부채 부담 수준과 전체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웃도는 소호 론 등의 부담을 간과하기 어렵고 외부 충격에 대비해 금융 안정성에 대해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금리 25bp 인상이 큰 부담이 되지는 않을 것으로 봤다.
그는 "현재의 점진적인 금리인상이 민간 소비와 GDP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며 "금리 25bp 인상은 48개월에 걸쳐 소매판매에 약 0.5% 정도 누적 효과를 미친다"고 분석했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