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락 연구원은 "경기 모멘텀 둔화에도 국내 통화당국은 금융안정에 좀 더 유의할 필가 있다는 인식을 보이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공 연구원은 미국 금리의 오버슈팅과 함께 변동성이 커진 국면이 지속될 수 있다고 봤다.
그는 "파월 의장의 발언에 앞서 채권시장은 연준이 9월 FOMC에서 '완화적'이라는 문구를 삭제한 것과 무관하게 추후 2~3회 가량 기준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이란 기대를 이어온 만큼 금리 상승 및 변동성 확대 국면은 당분간 계속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금리 급등의 트리거는 파월 의장의 매파적 발언"이라며 "현 기준금리 수준이 중립금리와 먼 거리에 있다(We're a long way from neutral at this point, probably)에서 촉발된 우려가 단기간에 걸친 금리 급등을 불렀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