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윤태호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문재인 정부의 방산정책 불확실성, 한화생명의 주가 부진은 한화에게 부담이지만 이미 주가에 여러 번 충격을 준 사안으로 주가 민감도는 미미한 상황”이라며 “우려 요인이던 한화건설의 사업 정상화 소식이 주가에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한다”고 말했다.
윤태호 연구원은 한화건설의 이라크 사업 정상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윤 연구원은 “한화건설은 이라크 비스마야 발주처로부터 상반기 2억3000달러, 8월 8600만달러의 공사대금을 수령했고 수일 내 추가적인 공사대금을 수령할 계획”이라며 “1분기 기준 이라크 바스마야 현장의 공사 진행률은 32.5%로 진행률이 더디지만 이라크와 IS의 종전선언, 유가 회복 등으로 공사가 최근 속도를 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윤 연구원은 “현재 공사 속도를 고려하면 비스마야 현장의 2018년 매출은 4500억원, 2019년 7000억원, 2020년 1조원이 될 것으로 회사 측은 전망하고 있다”며 “이라크 비스마야의 누적 수금은 34억 8000만달러, 누적 캐시플로우는 10억달러 이상으로 수익성이 높다”고 말했다.
공사 완공 시기는 2021년이지만(8월 기준 공사 진행률 33%) 공사 지연의 귀책사유가 한화건설이 아니라 이라크 내전 영향인 점을 고려하면 발주처와 공기 연장 합의도 가능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공사 지연에 따른 한화건설의 손실 혹은 비용 전가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윤 연구원은 한화건설의 올해 연간 매출을 3조5000억원(전년 대비 +9.4%), 영업이익은 3000억원(+112.8%)을 제시했다.
한아란 기자 aran@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