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역별 1000명당 주택 매매건수 추이. /자료=(주)직방.
30일 (주)직방에 따르면 올해 생산가능인구 1000명당 주택매매거래는 23.3건으로 지난 2013년 22.7건 이후 가장 적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10년 21.6건, 2012년 19.7건, 2013년 22.7건 다음으로 적은 거래다. 정부의 수요억제책이 매매시장에 효과를 발휘하면서 매매거래 자체는 빠르게 줄어들고 있다.
주요 권역별로는 서울 24.9건, 인천·경기 24.4건, 지방 21.9건으로 서울에서 가장 많은 매매거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한다. 2006년 주택매매거래가 집계된 이후 처음으로 서울이 인천·경기보다 많은 생산가능인구 천명당 주택매매 거래가 이루어질 것으로 나타났다. 매매시장의 침체가 이어지고 있는 상황이나 수요대비 거래는 상대적으로 서울의 경우 활발하게 나타나고 있다.
2018년 전국 생산가능인구 1000명당 주택거래는 47.7건으로 이전 최대인 2017년 46.8건에 비해 0.9건 늘어날 것으로 조사됐다. 매매거래 감소와 달리 전체 주택거래는 2006년 이후 가장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2015년 45.7건의 거래가 이루어진 이후 4년 연속 40건 이상 거래가 성사되고 있다. 매매시장이 위축되면서 매매거래는 감소하고 있으나 전체 주택거래는 활발한 모습이다. 특히 아파트 분양권 등의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전체 주택거래 증가에 일조하고 있다.
분양이 활발히 이루어져 풍부한 분양권 매물과 매매에 비해 매수 비요 부담이 적고 신규 아파트 프리미엄으로 비 매매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활발한 비 매매시장의 거래와 풍부한 수요 움직임이 청약시장과 신규 주택에 대한 프리미엄 형성의 원인이 되고 있다.
2018년 생산가능인구 1000명당 주택거래가 서울은 소폭 감소했으나 인천·경기와 지방은 증가하거나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매매시장의 침체에 비해 비 매매주택거래는 늘어나면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지역별로 세종시를 제외하고 가장 많은 거래가 예상되는 지역은 광주로 61.4건으로 추정된다. 그 외 호남에서 다른 지역에 비해 많은 거래가 발생하고 있다. 지역 주력산업의 침체로 수요기반이 취약해진 경남과 울산이 각각 34.5건, 35.4건으로 가장 적은 거래가 이뤄졌다.
(주)직방 관계자는 "주택매매거래가 줄어들고 있으나 그 동안 크게 늘어난 분양물량으로 인해 비 매매주택 거래는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며 "신규 주택에 대한 선호와 단기간 분양권 투자 목적의 수요로 인해 주택거래는 거래량 자체만 본다면 호황기를 구가하고 있다. 비 매매거래시장이 커지면서 분양시장의 청약수요가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비 매매거래에 머물고 있는 수요층은 향후 매매시장으로 진입할 수 있는 대기 수요로서 작용할 수 있으나, 단기·레버러지효과에 기댄 투기적 수요에 따른 위험성도 가지고 있다"며 "특히 주택 보유나 거주 보다는 단기 투자성 거래의 경우 금리인상 등의 경제환경 변화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만큼 투자자와 정책당국의 신중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