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수검 부담이 커지고 경우에 따라 징계 수위도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가 꼽힌다.
반면 인센티브 방식의 선별적 종합검사가 예고되면서 소비자 조직 대응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대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윤석헌닫기

다만 이전처럼 모든 금융사가 종합검사를 받는 것이 아니라 지배구조 개선 노력, 적정 자본 보유 이행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별적으로 실시하겠다는 방침이다.
윤석헌 원장은 "금융사에 부담이 될 수는 있지만 검사는 감독이 현장에서 제대로 시행됐는지를 확인하는 절차로 금융사에도 목표를 잘 수행할 유인을 제공해 줄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출처= 픽사베이
일정 주기마다 시행하던 과거 종합검사와 달리 오히려 선별적 검사에 따른 부담감 우려도 있지만 은행권은 전반적으로 대비 태세를 갖추면 될 것이라는 분위기다.
다른 은행권 관계자도 "소비자 보호를 강화해서 종합검사를 받는 쪽으로 대응해 나가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실제 금감원은 최근 핀테크 같은 새로운 분야에서 소비자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는 측면에서도 감독과 검사를 강화해 나갈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만큼 금융사들도 내부적으로 소비자 보호 측면에서 긴밀하게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