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총재는 31일 발표한 신년사에서 "올해도 우리 경제의 견실한 성장세가 지속되겠으나 수요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이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당분간 통화정책의 완화기조를 유지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통화정책 완화기조의 장기화가 금융불균형을 심화시킬 가능성, 그리고 이러한 불균형의 누적이 중장기적으로 성장과 물가에 미치는 영향에 한층 유의해야 한다"며 "이러한 인식 하에 향후 성장과 물가의 흐름, 그리고 금융안정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정도의 추가 조정 여부를 신중하게 판단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지난 11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1.25%에서 1.50%로 올린 뒤 보인 한은의 입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발언이다. 이 총재의 '신중론'이 재차 부각되며 내년 1/4분기까지는 한은이 기준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이 총재는 새해 한국 경제의 주요 위험요인으로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변화, 보호무역주의 강화, 북한 리스크, 저출산과 고령화, 가계부채 누증 등을 꼽았다. 이어 그는 "우리 경제가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해서는 경제체질 개선과 성장잠재력 확충을 위한 개혁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계부채는 정부 정책에 힘입어 점차 증가세가 둔화될 것을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다만, 이 총재는 "부채의 총량수준이 높은 데다 증가속도가 소득에 비해 여전히 빨라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금융안정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면서 "중장기적으로 부채증가율을 소득증가율 이내로 관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올해 지나친 과열 양상을 보인 가상화폐 거래에도 대응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전 세계적으로 과열 양상을 보이는 가상화폐 거래가 금융안정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강구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혜린 기자 hrgu@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