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금융지주는 올해 1~3분기 글로벌 부문 순이익(그룹 기준)으로 1억5300만 달러를 냈다고 밝혔다. 한화로 1700억원이 넘는 수준으로 3분기만에 지난해 연간(1억5800만 달러) 실적을 따라잡았다.
신한은행 기준으로 보면 올 3분기 해외점포 누적 순이익이 1억5922만 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33.4%나 성장했다. 4분기가 남았지만 전년도 연간치(1억6253만 달러) 수준에 근접했다.
해외에서 벌어들인 순익 비중도 은행 기준 두 자릿수를 나타냈다. 올해 3분기말 신한은행의 해외점포 순익은 전체 그룹사 순익의 10.8%를 차지했다.
신한금융은 국내 리딩경쟁을 넘어 해외시장 진출을 성장의 돌파구로 삼고 상대적인 비교우위를 키워나가는 데 집중하고 있다.
조용병 회장은 올 초 취임 일성으로 ‘글로벌’을 꼽으며 2020년 아시아 리딩금융 그룹 도약을 꼽았다. 해외시장에서 자체 경쟁력을 키우는 오가닉(Organic) 성장과, 아시아 유망 시장 내 인수합병(M&A)이나 지분투자 등 인오가닉(Inorganic) 성장 전략을 조화롭게 추진하겠다고 했다.
조용병 회장은 오는 2020년까지 신한금융그룹의 글로벌 사업 수익 비중을 전체 순익의 2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도전적인 목표를 세웠다.
올 7월에는 사업부문제 개편을 통해 매트릭스 체제를 구축했다. 지주와 은행·카드·금투·생명 등 5개사의 해외사업 임원을 겸직하는 글로벌 사업부문장을 선임해 그룹의 글로벌 사업 전체를 통할하도록 했다.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동반진출 국가 내 그룹사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계열사 중 한 곳을 사업 실행 컨트리 헤드(country head)로 지정해 현지 사업을 총괄하도록 했다.
신한금융의 대표적인 글로벌 사업 성공사례 중 하나는 신한은행 베트남 현지법인이다. 현지고객 비중이 80%를 넘을 만큼 현지에 잘 정착했고 카드사업도 순항하고 있다. 올 4월 ANZ은행 베트남 소매금융(리테일) 인수로 신한베트남은행은 현지 외국계은행 1위로 올라서는 토대를 만들기도 했다.
베트남은 최근 신한금융투자, 신한생명 등 비은행 계열사 동반 진출로 시너지 확대가 기대되는 시장으로도 꼽히고 있다. 신한카드는 카자흐스탄· 인도네시아·미얀마를 공략하고, 신한금투는 베트남·인도네시아에서 은행과 협업 체계를 확대할 계획이다.
인도네시아는 신한금융의 또다른 동남아 시장 거점 중 하나다. 조용병 회장이 은행장이었던 지난해 말 국내 금융사 최초로 로컬 은행 현지법인 두 곳 지분인수로 신한인도네시아 은행을 공식 출범시켰다.
올 3월에는 한국계 은행 최초로 미얀마 중앙은행으로부터 은행업 라이선스 예비인가를 획득하고 이어 9월에 점포를 개점하기도 했다.
조용병 회장은 위성호닫기


신한금융그룹의 글로벌 비즈니스는 2014년말 16개국 70개 네트워크에서 올해 6월말 기준 총 20개국·168개 네트워크로 두 배 넘게 확대됐다.
글로벌 사업 부문 성장이 나타나고 있지만 아직 갈 길이 녹록하지는 않다. 한정태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신한금융의 해외부문 이익이 국내 은행지주 중 가장 크지만 모멘텀(탄력)으로 작용하기에 아직은 규모가 작아 보인다”고 분석했다.
강혜승 미래에셋대우 애널리스트는 “신한금융은 해외시장 영업 노하우를 쌓으며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단기에 성과를 내기 쉽지 않지만 그룹의 수익 기반 다변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