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는 10일 '행복수명데이'를 맞아 한국과 일본, 미국, 독일, 영국 등 5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한 '행복수명 국제비교'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행복수명지표는 종합적인 노후준비 진단을 통해 노후의 삶의 질적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수명의 개념으로 계량화한 것으로 지난해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회와 서울대학교 노년·은퇴설계연구소가 공동으로 개발한 노후준비 측정지표다.
우리나라의 행복수명은 74.6세로 조사대상 5개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타 국의 경우 △독일(77.6세) △영국, 미국(76.6세) △일본(75.3세) 순으로 나타났다.
행복수명과 기대수명(83.1세)의 차이도 8.5년으로 일본(9.5년)에 이어 두번째로 큰 차이를 보였다. 이는 △건강 △경제적 안정 △사회적 활동 △원만한 인간관계 등 영역에서 노후준비 부족으로 생존기간 중 8.5년 동안 행복한 삶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얘기로 풀이된다. 특히 차이가 5년 이상에 해당하는 응답자가 70%를 차지해 노후에 삶의 질의 양극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됐다.
영역별 수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건강수명이 73.6세로 4위에 올랐다. 경제수명 77.0세(4위), 활동수명 72.5세(5위), 관계수명 75.2세(5위)로 전 영역을 통틀어 노후준비 수준이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은퇴자산 특성을 살펴보면 부동산 자산(1위)가 많은 반면 노후대비 금융자산(5위)과 연금 수령액(5위)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에 지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치료비와 간병비 예상액은 1만5000달러로 미국(1만8000달러) 다음으로 많았다.
이수창 생명보험사회공헌위원장은 "이번 행복수명 국제 비교 연구는 한국의 노후준비 수준의 현 위치를 진단할 수 있는 소중한 자료"라며 "현재 노후준비 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부족하지만 행복수명데이를 계기로 국민 스스로가 자신의 노후준비 상태에 객관적으로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민경 기자 aromom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