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창수 전국경제인연합회장이 지난 24일 전경련 회관에서 대국민 사과를 발표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은 지난 24일 발표한 혁신안에 대해 자발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것을 토로했다. 삼성·현대자동차·SK·LG그룹 등 국내 4대 재계그룹이 전경련을 탈퇴에 따른 예산안 급감으로 어쩔 수 없었다는 얘기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과의 통합을 발표한 것도 예산 급감에 따른 조직 축소로 인한 조치로 보인다. 실제로 권태신 부회장은 “현재 전경련의 재정상황이 어렵다”며 “이에 따라 조직 축소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즉, 전경련의 조직 혁신 의지 외에도 4대 그룹의 탈퇴에 따른 예산 급감에 따른 조직운영 어려움이 존재한다는 의미다.
업계 관계자는 “결국 재계의 맏형을 자처했던 전경련은 이번 ‘최순실 게이트’로 인해서 주요 4대 그룹이 탈퇴, 재정적으로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에 따라 전경련의 조직·인력 축소는 불가피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삼성그룹 계열사들의 탈퇴가 전경련의 위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며 “그 반사효과로 대한상공회의소(이하 대한상의)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고 덧붙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