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태신 전국경제인연합회 부회장이 지난 24일 전경련 회관에서 혁신안을 발표하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이 간판과 조직, 그리고 인력 축소 등이 포함된 혁신안을 발표했다. 권태신 전경련 상근 부회장은 이르면 5월경 발표된 혁신안들이 마무리될 것이라고 발표했다.
혁신안의 주요 골자는 한국경제연구원과 전경련의 통합, ‘한국기업연합회(이하 한기련)’으로의 명칭 변경, 약 40%의 조직·인력 축소 등이다. 권 부회장은 “명칭 변경 등은 정관 변경이 이뤄져야 하기에 시간이 생각보다 걸린다”며 “다음주부터 빠르게 실시할 수 있는 사항부터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이 같은 혁신안 발표에도 불구하고 해체론이 꺼지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시민단체 및 정치권에서는 ‘조직 유지를 위한 기만’이라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은 지난 24일 “이번 전경련의 혁신안은 조직 구조와 인적자원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내용을 담고 있지 못하고 있다”며 “그간 반복해온 쇄신약속과 크게 다르지 않다”고 비판했다.
이어 “실질적인 혁신없이 조직 유지를 위한 방안 성격이 짙은 혁신안으로는 정경유착 가능성을 결코 근절할 수 없다”며 “싱크탱크와 경제외교기능 강화 역시 정경유착 근절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며 “오히려 정책연구나 경제외교를 빌미로 재벌 대기업들을 위한 새로운 정경유착 방법만 양산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덧붙였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더민주)도 지난 25일 부대변인 논평을 통해 전경련의 혁신안을 비판했다. 임혜자 더민주 부대변인은 “한기련으로 간판만 바꿔달은 전경련의 혁신안은 정경유착의 적폐를 청산하라는 국민들의 거센 요구인 ‘전경련 해체론’이란 발등의 불을 끄기 위해 눈 가리고 아웅한 것”이라며 “지난 50년간 유지해온 이름을 바꿨다고 해서 전경련이 기업 중심 경제단체로 변신했다고 생각하는 국민은 별로 없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전경련이 근본적인 쇄신책은 외면한 채 미르·K스포츠 재단의 모금을 주도한 사실을 축소하면서 ‘피해자 코스프레’에 나서고 있는 모습은 국민을 더욱 분노스럽게 하고 있다”며 “뼈를 깎는 쇄신과 반성,.혁신안을 내놓을 의지가 없다면 전경련은 즉각 해체하라는 것이 국민의 요구”라고 덧붙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