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재정경제부는 20일(현지시간) 미셸 사팽 장관 명의의 보도자료를 내고 재경부 산하 공정거래국(이하 DGCCRF)이 오펠의 디젤 차량들을 조사했지만 조작 혐의를 뒷받침할만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아 조사를 종결했다고 밝혔다. DGCCRF는 폭스바겐, 르노, 피아트 크라이슬러, 푸조 시트로앵의 배출가스 조정장치에 조작임을 입증하는 증거들이 발견돼 이를 사법당국에 통보했다고 설명했다.
공정거래국이 배출가스 조작으로 결론짓고 이를 사법당국에 전달한 시점은 각각 폭스바겐이 지난해 2월, 르노 지난해 11월, 푸조 시트로앵과 피아트 크라이슬러는 올해 2월이다.
프랑스 정부는 이들 제조사의 디젤 차량에 배출가스 테스트 통과를 위한 조작 소프트웨어가 장착됐는지 여부 등 조사 결과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DGCCRF는 다른 디젤 차량 제조사들에 대해서도 배출가스 조작장치나 소프트웨어 장착 여부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프랑스 정부는 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 파문 이후 프랑스에서 판매되는 디젤차 86종의 배출가스 문제를 조사해 폭스바겐 외에 르노, 피아트, 포드, 볼보, 닛산 등의 디젤차도 유럽연합(EU) 환경 당국의 기준을 초과하거나 업체광고보다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했다고 지난해 7월 발표한 바 있다.
이후 프랑스 검찰은 르노의 배출가스 조작 여부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르노는 배출가스를 조작했다는 프랑스정부의 조사 결과를 부인하고 있다고 AFP통신은 전했다.
르노는 지난주에도 프랑스 일간 리베라시옹이 일부 디젤 차량에 배출가스 조작 소프트웨어가 장착됐다고 보도했지만 이를 공식 부인했다. 르노는 유해 배기가스 기준 초과를 이유로 지난해 1만5000대의 차량을 리콜한 바 있다.
푸조시트로앵그룹(PSA)도 배출가스 조작장치나 조작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며, 피아트 크라이슬러는 논평을 거부했다고 AP통신은 전했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