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사진= 기획재정부 '제2차 경제관계장관회의'(2017년 2월 1일)
유일호 부총리는 이날 오전 현대위아 의왕연구소에서 민관 합동 컨트롤 타워인 '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회'를 신설하고 1차 회의를 주재하며 이같이 밝혔다.
4차 산업혁명 전략위원회는 유일호 부총리를 위원장으로 교육부장관,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등 관계부처 장관, 기술, 경제·산업, 고용·사회 민간위원 등 29명으로 구성된다. 매 분기별 1회씩, 필요시 수시로 회의를 개최해 논의를 열 예정이다.
유일호 부총리는 "지난해 1월 세계경제포럼(WEF)에서 전격 제기된 지 1년도 안돼서 4차 산업혁명은 글로벌 화두로 급부상했다"며 "4차산업혁명 전략위원회를 통해 정부와 민간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비전을 세우고 5년내 중점적으로 추진할 과제들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먼저 주요국의 대응과 한국의 현 위치 파악, 강점과 약점 분석 등 우리의 방향을 세우고, 선도자(first mover) 전략으로 우리 경제·사회 시스템을 4차 산업혁명에 맞도록 재편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연구개발(R&D)과 교육제도 개편, 산업의 스마트화·플랫폼화도 꼽혔다. 정부의 역할은 개방·연결 혁신플랫폼으로 잡았다.
시장진입을 가로막는 규제 개선과 인센티브 지원으로 민간기업의 투자환경도 조성한다.
유일호 부총리는 "앞으로 부처 별 논의와 민간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거쳐 4차 산업혁명 대응을 위한 종합대책을 다음 전략위원회를 통해 발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