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 임형석 한국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실장 '국내 은행의 리스크 관리 특징과 시사점'
임형석 한국금융연구원 은행·보험연구실장은 5일 '국내 은행의 리스크 관리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내다봤다.
위험가중자산은 차주에 따라 위험 가중치를 달리 적용해 구한다. 예컨대 정부대출이나 국공채 등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돼 위험을 제로(0)로 본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기순환 국면 별로 총자산 대비 위험가중자산 비중을 보니, 국내 은행은 경기 수축기에는 '안전자산' 위주로, 확장기에는 '위험가중자산' 위주로 자산을 늘리는 경향을 나타냈다.
시기 별로 보면 경기 수축국면(2011년 3분기∼2013년 1분기)에 은행들의 총자산은 4.1% 늘었지만 위험가중자산은 4.0% 증가, 총자산 대비 위험가중자산 비중은 축소됐다.
반면, 경기 확장국면(2013년 1분기∼2015년 4분기)에는 위험가중자산이 18.3% 급증하면서 총자산 증가율(15.8%)을 넘어서 위험가중자산 비중이 커졌다.
보고서는 국내 경기가 2013년 3월 저점 이후 지속한 확장국면을 지속하다가 작년 하반기에 정점에 도달한 것으로 봤다.
임형석 실장은 "국내 은행의 총자산 대비 위험가중자산 비중이 전반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라며 "특히 올해는 국내 경기가 순환국면상 수축국면에 진입한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올해 과도한 리스크 추구가 나타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평가했다.
다만 "바젤은행감독위원회(BCBS)가 올해 위험가중치가 보다 강화된 표준모형 이용 의무화를 확정해 도입할 경우"가 변수로 꼽혔다.
임형석 실장은 "올해 새로운 규제가 확정돼 도입될 경우 총자산대비 위험가중자산 비중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어 리스크 관리를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선은 기자 bravebambi@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