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은보 부위원장은 17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자본시장연구원 주최로 열린 '단기금융시장 활성화방안 공청회'에 참석, "환매조건부채권(RP) 시장 내 익일물(1일물) 편중현상이 과도하고 감독당국과 시장참여자의 거래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제한적"이라며 "기일물 RP 거래를 활성화하고 규율체계를 정비해 익일물 차입비중이 높은 증권사에 유동성 스트레스테스트를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RP는 금융회사가 일정 기간이 지나면 다시 매입하는 조건으로 판매한 후 만기에 이자를 붙여 되사는 채권을 말한다. RP, 양도성예금증서(CD), 기업어음(CP), 전자단기사채 시장 등이 단기금융시장에 해당한다. 국내 단기금융시장 규모는 지난 2011년 68조원에서 2015년 88조원으로 성장, 단기금융시장 내 비중은 RP의 경우 23%에서 44%로 늘었다.
정 부위원장은 이 같은 성장에도 불구하고 우리 단기금융시장에는 익일물 편중현상이라는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전세계 실물·금융시장을 뒤흔든 2008년 글로벌 위기를 언급하며 "당시 미국의 RP 등 단기금융시장 상황이 현 우리의 상황과 비슷하다"며 "익일물 RP 비중이 70~80%에 달했는데 과도한 단기차입 행태가 상황을 악화시켰다"고 설명했다.
또 그는 "금리 산정절차의 투명성을 높여 금리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나가야한다"며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RP거래 관련 수수료율 체계를 합리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자본시장연구원이 주최한 이번 공청회에는 이규복 연구위원이 '단기금융시장의 기일물 활성화 필요성 및 개선방향'을, 백인석 연구위원이 '해외 사례를 중심으로 한 단기금융시장의 규율체계 정립 필요성 및 개선방향'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진희 기자 jinnyki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