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축산물 및 가공육의 시간에 따른 일반세균수 변화 추이 실험. 소비자원 제공
이에 한국소비자원(원장 한견표)은 최근 1년간 캠핑 경험자 1000명을 대상으로 캠핑 관련 식품안전 인식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토대로 축산물 보관 시뮬레이션 시험을 수행, 캠핑용 먹거리의 식중독 예방을 위한 안전주의보를 발령하였다.
소비자원에 따르면,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 없이 4~6시간 보관하면 세균증식으로 인한 축산물 부패 발생 가능하다.
여름철 외부(33℃)와 여름철 차량 트렁크(43℃)에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 없이 축산물을 보관하면 대체로 4시간 후 부터 균의 증식이 나타나 6시간이 경과하면서 부패 초기로 인식하는 5×106CFU/g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이스박스 보관 시에는 24시간이 경과해도 세균수의 변화가 거의 없었다.
세균 자체가 인체에 직접적인 건강상 위해를 나타내지는 않지만 일반세균이 500만FU 이상(5.0×106) 나오면 부패가 시작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제조·보존 및 유통 등의 위생관리 개선이 필요하다는 의미이다.
CFU(Colony Forming Unit)는 세균 계수 단위이며, 본 실험은 아이스박스 용량의 20%를 얼음으로 채운 조건으로 아이스박스 보관 시 4∼10℃를 유지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19.3%는 캠핑 시 식재료로 축산물 등을 구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캠핑장까지 이동 중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로는 “캠핑장까지 시간이 별로 소요되지 않아서” (63.2%), “냉장제품이 많아 충분히 신선하다고 생각되어서”(13.0%) 등이 꼽혔다.
축산물 등은 대부분 집 근처 마트 등에서 구입(77.9%)하여 캠핑장까지 평균 1~3시간 이동(64.8%)하였고, 대부분 당일 저녁에 섭취한다(83.0%)고 응답하여 오전에 구입했을 경우 섭취까지 7~8시간 이상 소요될 수 있다.
소비자원은 장 볼 때 축산물을 마지막에 구입하는 경우는 약 40% 정도에 불과하다며, 세균 증식이 쉬운 축산물 등은 마지막에 구입하여 바로 아이스박스 등 냉장기구에 넣어 세균 증식을 억제시키는 것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또한, 축산물 등의 육즙이 다른 식품과 교차오염되지 않도록 다른 식재료와 구분 보관해야 하는데 응답자의 57.7%가 구분 없이 담았다고 답해 전반적인 축산물 등의 취급 안전 의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 캠핑용 먹거리를 안전하게 즐기고 식중독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축·수산물은 마지막에 구입, 축산물 등의 육즙이 다른 식재료에 묻으면 교차오염의 위험이 있으므로 구입단계부터의 구분을 해줄 것을 소비자에게 당부했다.
이어 식품은 아이스박스 등 냉장용기에 얼음 또는 보냉제를 충분히 넣어서 보관하며, 아이스박스는 냉장 상태 유지를 위해 자주 열지 않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은지 기자 rdwrwd@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