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직연금펀드까지 합치면 전체 시리즈 규모는 3조40000억원에 육박한다.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펀드는 국내 최대 해외채권형 펀드로 시장금리에 추가 수익률과 안정성을 추구하는 해외채권형 펀드다.
2006년 10월 설정 이후 약 10년 동안 매해 플러스 수익률을 기록한 상품으로 6일 제로인 기준 모펀드의 설정후 수익률은 118.17%이며 연평균 수익률은 8%를 넘는다.
3년 및 연초이후 수익률 또한 각각 18.03%, 5.90%를 나타내 우수한 성과를 기록하고 있다. 글로벌다이나믹펀드의 장단기 표준편차는 펀드의 안정적인 운용을 알려주는 지표로 2% 수준에 불과하다. 이는 업계 해외채권형 펀드 중 가장 낮은 변동성이다. 표준편차가 낮을수록 변동성이 작아 수익률 또한 꾸준해진다.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펀드는 선진국과 신흥국 우량 국공채에 자산배분한다. 모기지 채권과 투자등급 이상 회사채도 편입하는 등 전세계 40여개국 500개 이상의 채권이 투자 대상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국내 해외채권 시장 중 45%에 달하는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수탁고는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펀드와 미래에셋글로벌다이나믹플러스펀드가 각각 1조5430억원, 9618억원이다. 이밖에도 연금저축펀드와 매월 분배금을 받는 월지급식펀드가 각각 1792억원, 4845억원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 채권운용부문 김성진 대표는 “글로벌다이나믹펀드는 미래에셋의 글로벌 자산배분역량을 통해 수익성과 안정형을 동시에 추구하는 상품”이라며 “투자자들에게 꾸준한 관심을 받고 있으며 지속적인 분산투자를 통해 저금리 시대 투자대안으로 정착시키겠다”고 말했다.
고영훈 기자 gyh@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