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현재 2000여개의 상장주식 가운데 정치 테마주로 분류되는 종목은 약 100여개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선거와 주가의 상관관계는 뚜렷했고, 90년대 초반까지 그 흐름을 이어가면서 하나의 정치 테마주로 자리잡았다.
한국거래소가 1987년 이후 치러진 네 차례 직선제 대선 전후의 주가 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대선을 앞두고 한달 동안 주가는 87년, 92년 모두 3~6%대의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선거철이 다가오면 정부는 경기 부양을 위해 인위적으로 돈을 풀었고 후보자들은 경제 개발과 관련된 공약을 쏟아냈다. 그야말로 '경제'에 모든 게 집중됐고 건설과 부동산 관련 주는 민감하게 반응했다.
노태우 대통령 시절 국민주택 200만호 건설, 새만금 정책과 김영삼 정부의 세계화 정책추진으로 건설, 철강, 운송주들은 수혜를 누렸다.
하지만 외환위기를 거친 90년대 후반 이후로는 우리 경제는 국내 경제 상황보다는 세계 경기에 더욱 영향을 받게 됐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우리나라 경제가 이제는 국내 정치보다는 글로벌 경기에 더욱 영향을 받고 있다"라며 "국내 정치·경제 상황과 주가간의 민감도가 둔화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후보자들이 내세우는 공약들이 '개발 공약'보다는 '경제 민주화'로 이슈가 옮겨진 것도 하나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개발 공약은 수혜를 보는 주가 명확한 편이지만 '경제 민주화'나 '창조 경제' 등의 정책 구호는 수혜주가 명확하지가 않았기 때문에 주가에 미치는 영향도 뚜렷하지가 않다는 것이다.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지금은 이미 우리 경제가 성숙 단계에 들어섰기 때문에 개발 공약을 많이 내기도 어렵고, 투자자들도 오랜 시간 선거를 경험하면서 개발 공약이 지켜질지에 대한 냉정한 판단이 가능해졌다"고 분석했다.
장원석 기자 one218@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