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중소기업협력센터는 최근 ‘30대 그룹 설 전 납품대금 조기지급 계획’을 조사한 결과, 대기업이 올해 설 전 조기 지급하는 납품대금 지급규모는 5조7607억원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지난해 설 전 조기납품 대금 5조893억원보다 13.1% 증가한 수준이다.
지급수단으로는 현금결제가 4조3849억원으로 76.1%를 차지했고, 나머지 1조3758억원은 수표와 기업구매카드 등 즉시 현금화가 가능한 현금성 결제인 것으로 파악됐다.
협력센터는 대기업 역시 경영상황이 어려운 상태에서 협력사에 대한 자금지원을 확대, 동반성장 문화가 경제계에 뿌리 내린 결과라고 분석했다.
30대 그룹은 명절 전 납품대금 조기지급뿐만 아니라 평소에도 월 2∼4회 또는 수시로 납품대금을 지급해 협력사가 현금 유동성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없도록 지원하고 있다.
실제 삼성전자는 2005년부터 중견·중소 협력사에 대해 월 2회 현금으로 납품대금을 지급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는 월 4회로 이를 확대해 납품과 동시에 대금을 지급하고 있다.
아울러 이들 대기업은 2015년부터 동반위 등이 추진 중인 ‘상생결제시스템’을 도입 1차 협력사뿐만 아니라 2·3차 협력사에 대해서도 납품대금의 원활한 지급과 금융비용 부담 완화에 앞장서고 있다.
상생결제시스템은 대기업과 거래관계에 있는 1~3차 협력사들이 대기업이 발행한 전자매출채권(외상매출채권)을 은행을 통해 현금(수표)처럼 결제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결제시스템이다.
SK텔레콤은 ‘중소기업 케어 프로그램’을 운영해 거래금액과 상관없이 납품 다음날 대금이 지급되도록 하고있다.
정수남 기자 perec@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