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친환경부품 활용의 미래는 매우 암울하다. 대체부품 인증제는 제반여건 마련 부족 <관련기사 11월 13일자 ‘자동차 대체부품 인증제 실효성 논란’>문제가 있지만 관련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친환경부품의 경우 마땅한 해결책이 없다는 것이 문제다.
◇ 친환경부품 활용 비중... 3년째 0.3% “전멸 상태”
작년 7월 보험개발원은 자보에서 지출된 부품비는 약 2조원으로 수리비의 44.5%(FY2011 기준)를 차지한다고 발표했다. 최근 4년간 평균 13.7% 증가, 수리비 증가의 주요인이라고도 지적했다. 보험개발원 및 손보업계는 치솟는 수리비를 절감시키기 위해 중고부품(이하 친환경부품) 사용을 활성화 시켜야 한다고 주창해왔다. 연간 510만건에 달하는 사고차량 수리부품의 5%를 친환경부품으로 대체할 경우 연간 약 177억원의 부품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기대했다.
그러나 친환경부품 사용은 매우 미진하다. 지난 2011년 이후 자보 친환경부품 보험수리 현황을 보면 전체 자동차보험에서 지출된 수리비에서 중고부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전멸’했다. 일부 특이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사용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23일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작년 전체 자보에서 지출된 부품비 중 친환경부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0.31%다. 사용건수는 5만5752건, 부품비는 74억원을 나타냈다. 그 이전인 2011년(5만8806건, 64억원), 2012년(5만4730건, 66억원)과 별반 차이 없는 상황이다. 전체 자보에서 지출된 부품비 규모와 비교할 때 매우 초라한 수치다. 자보 수리시 친환경부품을 사용하면 수리비 절감과 보험·정비업계의 상생발전을 도모할 수 있다는 손보업계와 보험개발원의 외침이 ‘공허한 메아리’로 전락한 상황이다.
사용이 미비한 여파로 손보사들이 출시한 관련 특약들도 ‘무용지물’이나 다름없다. 지난 2010년 11월 현대해상을 시작으로 손보사들은 자보에 친환경부품 특약을 탑재해 운영 중이다. 보험수리시 중고부품이나 재제조품을 사용하면 순정부품 가격과의 차액을 환급해주는 특약이다. 친환경(에코)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온실가스의 주범인 탄소배출을 낮춤으로써 대기환경을 보존하고 자원재활용을 통한 에너지 절감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보험개발원 기술연구소 관계자는 “차 수리비에 있어 부품비는 절반에 육박해 정부당국 및 업계에서 다양한 대안을 내놨다”며 “그러나 현재까지 현실적인 활성화 방안은 찾아보기 어렵다”고 말했다. 손정배 보험개발원 기술연구소 수석은 “친환경부품은 리유즈(Re-Use) 상품”이라며 “현재 고객인식뿐 아니라 해당 업계의 상황으로 인해 친환경부품 활용에 어려움이 매우 크다”고 토로했다.
◇ 고객 부정적 인식 외 ‘정비업계 경쟁력 강화 등’… 공급과정 개선 필요
대체부품과 친환경부품은 결국 ‘자동차 수리비 절감’이라는 공통적인 목표를 가지고 있다. 끝을 모르고 치솟는 수리비 절감을 위해 대체부품 및 친환경부품 활용도를 높여야 한다는 얘기다. 특히 친환경부품을 위해서는 정부당국뿐 아니라 정비업계의 경쟁력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다.
두 부품 모두 활성화에 회의적인 시각이 많지만, 대체부품의 경우 정책적 유연성과 업계와 부처간 협의에 의해 실타래는 풀릴 수 있다. 반면, 친환경부품은 활용 외에도 공급과정에서의 애로점을 해소해야 한다. 부품 확보 및 이송까지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는 얘기다.
친환경부품은 활용 신청이 있으면 정비업체에서 관련 부품을 확보, 고객에게 배송하는 형태다. 업계 관계자들은 부품 확보 과정에서 정비업계의 경쟁력이 높다고 보지 않는다. 부품을 확보했다고 해도 배송시간을 현재 보다 단축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손정배 수석은 “친환경부품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는 부분은 공급과정에서도 드러난다”며 “관련 부품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비업계의 경쟁력을 높여 친환경부품 확보 과정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한다”며 “고객 인식 전환과 함께 관련 부품 확보 과정 개선이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반지운 보험개발원 기술연구소 수석연구원도 “친환경부품 공급 역할은 폐차장 등 정비업체에서 담당한다”며 “친환경부품 확보 외에도 정비업체에서 관련 부품을 관리하는 비용에 부담을 느끼고 있어 이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보험개발원이 지난 2011년에 친환경부품에 대한 고객 설문조사한 결과를 보면 친환경부품 활성화를 위한 선결조건으로 응답자의 78.7%가 품질보증 및 안전성 확보와 부품이력 조회 등 정보 투명성을 꼽았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