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회장은 이날 회장직 사임 뜻을 밝히면서 “회장 취임 이후 우리금융 민영화를 위해 정부지분 17%를 블록딜 방식으로 매각하였고, 2010년부터 2012년까지 3차에 걸쳐 완전 민영화를 최초로 시도하였으나 무산된 것을 아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회장은 지난 2011년 3월 연임에 성공하면서 임기가 내년 3월까지였고 적어도 남은 임기는 채우기를 희망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새 정부가 금융부문 주요과제로 꼽고 있는 우리금융그룹의 조속한 민영화에도 적극적인 역할을 맡을 수 있다는 뜻을 여러 경로를 통해 전했으나 인사 물갈이 기조를 돌려세우진 못한 것으로 풀이된다.
급기야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지난 4일 일부 기자들과 간담회에서 “민영화 의지와 철학을 같이할 수 있는 분이 우리금융을 맡아야 한다”며 “(본인이) 잘 알아서 판단하실 것으로 본다”며 에둘러 압박하는 상황으로 치달았다.
당국의 단호한 시그널이 대중매체에 도배됐던 당시로부터 열흘 지나 사임의 뜻을 밝힌 것이다.
사임 의사와 더불어 “우리나라 금융산업 발전을 위하여 우리금융 민영화가 조기에 이루어 지기를 간절히 기원한다”는 마음을 밝힌 것 또한 아쉬움이 그만큼 깊다는 증표로 보인다.
스스로 돌아보기를 “1967년 우리은행 신입행원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하여 지난 40여년간 우리은행과 우리금융에서 회사 발전을 위하여 최선을 다했으며 우리나라 처음으로 한 금융기관의 말단행원에서 시작하여 그룹회장이 된 것을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그는 되뇌었다.
이 짧은 떠남의 장면에 대한민국 금융인들이 걸어왔고 걷고 있는 질곡어린 숙명이 겹쳐져 보이고 있다.
지난 4일 앞서 퇴임식을 치른 강만수 전 산은금융지주 회장에 이어 새 정부 출범 후 두 번째 은행지주사 회장 사퇴가 이뤄짐에 따라 인사 변동 파장은 더욱 넓고 거칠어질 전망이다.
정희윤 기자 simmoo@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