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가교저축은행의 연내 매각은 매우 힘들 것으로 전망된다. 예스·예솔·예나래 등 가교저축은행들은 그간 수차례 무산된바 있다.
현재 유일하게 우선협상대상자가 선정된 예스저축은행 또한 금융위의 대주주 승인이 지체되면서 매각이 무산됐다는 평이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 김 사장, 연내 매각 발언 보도… 예보, “의지를 나타낸 것”
지난 22일 언론보도에 따르면 김주현 예보사장은 연내에 한 곳 이상의 저축은행을 매각할 것이라고 밝혔다. 매각 대상은 예스·예나래저축은행이며, 최근 토마토2저축은행을 흡수한 예솔저축은행은 매각 대상에서 제외했다. 김 사장은 “예보가 관리 중인 퇴출 저축은행뿐 아니라 가교저축은행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며 “연내에 한 곳 이상 팔 계획”이라고 말했다,
반면, 예보는 이번 보도에 대해서 “가교저축은행의 매각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일 뿐, 연내에 반드시 정리하겠다는 의미는 아니다”며 확대 보도됐다고 설명했다. 가교저축은행은 퇴출된 저축은행들을 모아 정상화를 이룬 다음 매각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 김 사장의 발언은 이를 적극 추진하겠다는 뜻을 표명했다는 것.
예보 관계자는 “가교저축은행의 매각은 기존 퇴출은행의 지분매각 과정에서 적용한 P&A(계약이전)방식이 아니다”며 “가교저축은행은 1차 정상화를 거친 자산들임으로 M&A방식을 적용, 현재 시장이 어려운 상황 속에서 매각이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이어 “김 사장의 발언은 이 같은 매각추진의지를 나타낸 것”이라고 덧붙였다.
◇ 삼호건설 대주주승인 지체 “무산됐다”…“저축은행, “향후 매각 힘들 것”
이 같은 김 사장의 발언이 나온 가운데 가교저축은행 중 유일하게 우선협상대상자를 갖고 있던 예스저축은행의 매각 현황 또한 관심을 끈다. 현재 예스저축은행의 우선협상대상자인 삼호건설은 금융위의 대주주적격성 심사를 받고 있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지난 8월에 심사에 착수한 이후 약 3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승인이 이뤄지지 않고 있어 매각이 무산됐다고 보고 있다. 예보 또한 예스저축은행의 매각은 물겄너 갔다는 입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금융위에서 삼호건설에 대한 대주주 승인심사서 부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고 말했다.
예보 관계자도 “대주주 승인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며 “현재까지 대주주 승인이 미뤄진다는 것은 금융위가 불승인의 뜻을 나타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어 “예스저축은행의 매각이 확정될 경우, 재공고를 통해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해야 한다”며 “현재 시장에서 저축은행 매물은 불량물건으로 인식돼 매각과정에서 난항을 겪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시장에 나온 저축은행 매물의 단점으로 지적되고 있는 ‘수익창출 요소가 없다’는 것에 대해 1∼2개의 정책으로 해결이 가능하다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끈다. 현 정부가 추진한 정책을 1∼2개만 수정하면 저축은행 사태가 해결될 수 있다는 얘기다. 장일석 새금융사회연구소 이사장은 “금지업종 폐지에 따라 은행에게 먹거리를 빼앗긴 저축은행들은 수익창출을 위해 부동산 P/F 등 거액여신에 집중했다”며 “여기에 대주주의 도덕적해이까지 더해져 현재의 저축은행 사태를 불렀다”고 말했다.
이어 “금지업종 부활 등 1∼2가지 정책으로 저축은행의 먹거리는 해결될 수 있다”며 “현 저축은행 사태는 큰 노력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잘못된 정책의 바로잡기를 통해 해소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서효문 기자 shm@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