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실상 업계에서는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지 여부에 반신반의 하는 눈치다. 금감원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을 돕기 위해 지난 2008년 설립한 ‘금융중심지지원센터’가 지금까지 별다른 지원 없이 유명무실했다는 평가와 함께 보험업계가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개발도상국 등의 DB를 구축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
금감원은 지난 23일 △주요 진출국 종합DB 구축 △주요 진출국별 해외지원 전담 도우미 운영 △금융회사간 정보공유 확대 △애로·건의사항 해결 프로세스 개선 △금감원 해외사무소 적극 활용 등의 내용을 담은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지원서비스 강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러한 계획추진 배경에는 국내 금융회사들이 새로운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진출을 확대함과 동시에 국제금융 수요 등 그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데 반해 금융당국의 해외진출 지원이 다소 미흡했다는 지적과 자성의 목소리도 섞여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금융중심지지원센터 해외진출지원팀 김헌식 팀장은 “그동안 금융회사의 해외진출과 관련해 인허가 정보 제공이나 해외감독당국과의 접촉 등을 통한 지원 등 노력을 확대해 왔으나, 금융권의 해외진출 필요성이 커짐에 따라 보다 체계적인 지원의 필요성을 느꼈다”며, “전체 대상 국가 중 주요 진출국을 집중적으로 지원하는 등 보다 효율적인 지원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 금융중심지 지원센터… “4년간 유명무실”
금감원은 지난 2008년부터 금융중심지지원센터를 설립해 운영하고 있으나 보험업계에서는 4년간 유명무실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재 보험업계는 아시아권을 중심으로 생보사 24개, 손보사는 50개의 해외점포를 가지고 있지만 국내사의 인지도 부족과 신흥국의 보험 자체에 대한 인식 부족 등으로 아직까지 현지정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중에서도 가장 큰 문제로 현지 당국과의 커뮤니케이션을 꼽았는데, 중간 다리 역할을 해야 할 금융당국이 이를 충분히 수행하지 못했다는 지적이다.
업계 한 관게자는 “해외진출 사업에 있어 현지 금융당국과의 유기적인 관계가 가장 중요한데, 실질적으로 개개 회사입장에서는 그게 쉽지 않고, 감독당국의 중간 다리역할이 잘 되지 않았다”며, “사실상 금융중심지지원센터의 기능은 유명무실했다고 본다”고 말했다.
단적인 예로 중국의 자동차보험 시장의 경우, 지난 5월 의무보험시장을 개방하면서 삼성화재가 인가신청을 낸 상태지만 7월쯤 허가가 날 것이란 예상과 달리 언제 인허가가 날지 모르는 상황이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중국시장의 경우 배타적 성격이 강하고, 인허가와 관련해 서류심사 기간 등이 정해져 있지 않아 사실상 언제 허가가 날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때문에 현지 당국과의 유기적 관계지원이 최우선 과제로 거론되고 있다.
◇ 진출국 중심의 집중 지원체계 기대
보험업계는 이번 개선안에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주요 진출국을 중심으로한 종합적인 DB구축 방침에 기대를 내비치고 있다.
보험사들의 경우 국내시장의 포화로 인해 보험시장의 성장여력이 있는 아시아권의 신흥국들을 중심으로 진출을 노리는데 반해 이러한 신흥국에 대한 종합적인 DB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진출에 앞서 산업구조나 금융시장 규모, 인구구조, 일반현황 등 구제적인 자료들이 필요한데, 아시아권에 진출한 금융기관들이 70%에 달하는 데도 금융당국이 보유하고 있는 자료는 미국이나 일본 등의 선진국 중심이라 결국은 자체적으로 하나하나 알아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며, “신흥국의 경우 언어문제나 관련 전문가도 부족할뿐더러 국내에서 얻을 수 있는 자료가 한정되어 있어 맨땅에 헤딩하는 느낌”이라고 토로했다.
해외진출에 있어 금융회사들이 필요로 하는 정보와 정부에서 지원하는 정보의 핀트자체가 맞지 않았다는 것. 한편, 당국에 보고를 하거나 자료를 받을 때에도 화폐단위가 현지중심이 아닌 US달러를 기준으로해서 업무를 두 번 진행해야 할 뿐 아니라 현지에 대한 실제적인 체감을 받기 어렵다는 지적도 이어졌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개선을 통해 주요 진출국 중심의 집중 지원체계를 도입해 실질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며, “현지에서 본점의 지원없이 자체적인 경쟁력을 어느정도 확보하고 있는지 등을 평가하는 현지화지표 등을 확대 적용하고 해외진출 실태를 정밀 분석해 경영실태평가에 반영하는 등 금융사의 해외진출 및 현지화 촉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업계 한 전문가는 “이번 해외지원 강화 방침을 통해 보험업계 및 해외진출 금융회사들이 현지 정착에 있어 힘을 얻길 기대한다”며 “해외시장 정착은 장기적인 관점으로 바라봐야 하기 때문에 단기성과에 매몰되지 말고 업권별로 세밀한 정책지원이 필요할 것”이라고 조언했다.
김미리내 기자 pannil@fntime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