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만간 금리인상 가능성이 점쳐지면서 인상시 부채가 위험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경고음이 나오고 있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의 4월말 현재 가계대출은 411조원으로 이 중 주택담보대출은 269억원을 기록했다. 특히 올해 만기도래하는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일시상환대출은 112조원으로 그중 44조7000억원이 만기이며, 분할상환대출 148조1000억원 중에는 22조3000억원이 만기다.
우리나라 가계는 가계대출 증가로 소득을 넘어선 대출이자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한국은행과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한국 가계부채를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비율은 지난해말 기준으로 1.43배를 기록했으며, 이는 2004년 1.14배에서 △2007년 1.36배 △2008년 1.39배 △2009년 1.43배까지 증가한 것이다.
이에 한국은행이 출구전략의 일환으로 하반기 기준금리를 올리면 가계의 이자부담이 증가해 가계의 채무상환능력은 악화될 수 박에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 부동산경기가 침체되면서 가격이 정체되고 하락세가 지속되면, 상환능력이 떨어지는 가계부채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소는 ‘주택시장의 부채 디플레이션을 예방해야 한다’는 보고서에서 “최근 집값 하락으로 실질 채무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국내 주택시장에 부채 디플레이션 현상이 나타나면 건설 경기가 더욱 침체하고 가계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의 변동금리 비중이 90%를 차지하고 있어 금리상승 시 이자부담이 늘어나는 구조인만큼 은행들도 대출부실 가능성에 대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에 은행들은 연체율 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만기 연장과 코픽스 대출 전환을 적극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김성희 기자 bob282@fntimes.com